정치 대통령·대통령실

부산 간 尹대통령…경제대통령 입지 다져 정국 반전 노린다

파이낸셜뉴스

입력 2022.09.01 05:00

수정 2022.09.01 05:00

윤석열 대통령이 8월31일 경남 창원 부산항 신항을 방문해 제7차 비상경제민생회의에 앞서 항만 물류 현장을 시찰하고 있다. /뉴시스
윤석열 대통령이 8월31일 경남 창원 부산항 신항을 방문해 제7차 비상경제민생회의에 앞서 항만 물류 현장을 시찰하고 있다. /뉴시스
[파이낸셜뉴스] 윤석열 대통령이 8월31일 경남 창원 진해구에 있는 한진부산컨테이너터미널을 찾아 수출 지원 의지를 내비쳤다. 특히 이 자리에서 민감성 의제인 '산업은행의 부산 이전' 지시를 공식화했다.

집권여당인 국민의힘의 정치적 텃밭인 부산 심장부를 찾아 이 지역을 '금융의 메카'로 삼겠다는 의지를 적극 피력한 것은 우선 최근 고물가·고금리·고환율 등 전 세계가 공통적으로 겪고 있는 심각한 경제상황을 염두에 둔 것으로 보인다.

특히 대한민국 경제 역시 고물가 등으로 고통을 받고 있는 만큼 이번 부산 방문을 고리로 대한민국 경제 회복의 마중물을 마련하겠다는 복안이 깔려 있다는 관측이다.

윤 대통령은 이날 동행한 강석훈 KDB산업은행 회장을 향해 "부산이 발전하기 위해선 금융 지원이 매우 중요하다"며 "그래서 산업은행의 부산 이전을 조속하게 추진해 주시기를 당부드린다"고 공개적으로 지시했다.


대선에서 공약을 제시했던 사안이나 산은의 부산 이전이 지지부진하다는 일각의 지적을 의식한 듯 윤 대통령은 PK를 찾은 자리에서 다시 한번 공약 이행을 촉구한 것이다.

"산업은행 부산 이전 조속히 추진하라"

윤석열 대통령이 31일 경남 창원시 진해구 부산신항 한진터미널에서 열린 제7차 비상경제민생회의를 주재하고 있다. /연합뉴스
윤석열 대통령이 31일 경남 창원시 진해구 부산신항 한진터미널에서 열린 제7차 비상경제민생회의를 주재하고 있다. /연합뉴스
윤 대통령은 이날 경남 창원 진해구에 있는 한진부산컨테이너터미널에서 제7차 비상경제민생회의를 갖고 무역금융과 해외건설 수출 지원을 강조, 수출 기업에 대한 정부 지원을 확대 의지를 밝히면서 산업통상자원부와 국토교통부를 향해 지원을 독려했다.

윤 대통령은 "기업의 안정적인 유동성 공급을 위해 무역금융 공급 규모를 역대 최대 수준인 350조원까지 확대할 생각"이라며 "물류, 마케팅, 해외 인증과 관련된 수출 현장 애로 해소에도 총력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최근 수출 물량은 역대 최고 수준이나, 반도체 가격 하락으로 하반기 수출의 실적 전망은 밝지는 못함을 지적한 윤 대통령은 "우리 주력 수출산업에 대해선 초격차의 경쟁력을 유지하고 유망 신산업은 새로운 수출 동력이 되도록 적극 육성하겠다"며 "무역수지 개선을 위해 대중 수출 위축, 또 높은 에너지 가격, 반도체 수출 감소 등 3대 리스크에 집중 대응하겠다"고 강조했다.

수출로 먹고 사는 대한민국 경제 특성을 고려해 국내 수출 기업 금융 지원을 확대하는 것을 비롯해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장기화로 인한 국제 곡물 및 원자재 가격 상승 등으로 인해 대내외적으로 고물가가 지속되면서 서민경제가 고통을 겪는데 대한 신속한 대응을 주문한 것으로 보인다.

또한 산은의 노조 반대로 민감한 이슈로 떠오른 산은의 부산 이전에 대해 윤 대통령이 직접 공개적으로 지시함으로써 조속한 부산 이전을 기대하는 부산지역 산업계 등에 힘을 실어줬다는 것이다.

"직접 발로 뛰겠다…제2의 해외건설 붐 실현"

특히 집권 초반 국정 지지율이 고전을 면치 못하는 데다 이준석 전 대표 거취 논란으로 불거진 여당과 대통령실간 불협화음 등 악재가 잇따르면서 국정 드라이브를 걸기 위한 동력 확보가 쉽지 않은 점도 이번 부산행에 거는 기대효과 중 하나라는 분석이다.

즉, 위기의 대한민국 경제의 탈출을 주도하는 '경제대통령'으로서 입지를 공고히 다지고, 전통적인 여당의 텃밭이자 수출 기지인 부산권에서 다양한 기업 지원 방안을 강조함으로써 위기극복 능력을 집중 부각시키려는 행보라는 의견도 나온다.

이 밖에도 윤 대통령은 해외건설 분야와 관련, "불확실성이 크지만 고유가, 또 엔데믹 등 기회요인도 분명히 존재한다"며 "수주지역의 다변화 뿐만 아니라 건설공사를 매개로 해서 교통망, 5G 등 이런 것들을 전부 패키지화해서 수출하는 새로운 전략적 시도가 필요하다"고 주문했다.

이어 "정책금융기관의 충분한 자금지원과 부가가치가 높은 투자 개발 사업에 진출할 수 있도록 정부가 적극적으로 돕겠다"며 "해외 인프라 지원 공사의 자본금을 5000억원에서 2조원으로 대폭 상향하고 수출입은행 지원 규모를 50조원 이상으로 확대하겠다"고 제시했다.


최근 폴란드 방산 수출과 이집트 원전 수주 등의 성과와 관련해선 "대통령으로서 외교를 통해 직접 발로 뛰겠다"며 "우리 모두 팀코리아로 똘똘 뭉친다면 제2의 해외건설 붐은 반드시 실현될 것"이라고 말했다.

hjkim01@fnnews.com 김학재 기자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