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파이낸셜뉴스] 서울의 대표적 쪽방촌 중 하나로 782가구를 공급하는 '영등포 쪽방촌 공공주택 사업'이 지구지정 2여년 만에 본격화된다.
한국토지주택공사(LH)는 영등포 쪽방촌 공공주택지구 사업시행을 위한 지구계획이 승인·고시됐다고 8일 밝혔다.
영등포 쪽방촌 공공주택사업은 공공 주도 최초의 쪽방촌 정비사업으로 열악한 쪽방거주자들의 주거환경을 개선하고 쪽방거주자, 신혼부부 및 청년층에게 서울 도심 역세권내 양질의 주택을 공급한다. LH, 영등포구, 서울도시주택공사(SH)가 공동사업시행자다.
지난 2020년 7월 공공주택지구 지정 이후 주민과 지속적인 협의를 통해 지난 8월 보상공고가 실시됐다.
사업을 통해 쪽방거주자를 위한 임대주택 370가구, 청년 및 신혼부부 등을 위한 임대주택 91가구, 공공분양주택 182가구, 민간분양주택 139가구 등 782가구의 주택이 공급된다.
LH는 지구 내 쪽방 거주자들의 둥지 내몰림을 방지하기 위해 '선(先)이주 선(善)순환' 방식을 활용했다.
쪽방 거주자 약 140여 명은 임대주택 건설기간 중 지구 내·외에 마련된 임시이주공간에 거주하고, 임대주택 건설이 완료되면 공공임대주택으로 입주한다. 주민들의 안정적인 이주를 돕기 위해 철거 및 착공은 단계적으로 진행된다. 토지소유자를 위한 대토용지, 건축물 소유자를 위한 공공분양주택을 지구계획에 반영하는 등 주민보상 방안도 마련했다.
쪽방거주자들의 성공적인 재정착을 위해 공공임대주택에는 돌봄시설, 자활시설 등도 함께 마련해 다양한 서비스가 제공된다.
LH는 돌봄시설 등을 반영한 건축계획 수립을 위해 연말 임대주택 건축설계공모를 시행한다. 오는 2023년 조성공사 및 주택건설공사를 착수, 2026년 말 임대주택 입주가 목표다.
박동선 LH 지역균형발전본부장은 "쪽방촌 공공주택사업을 통해 열악한 쪽방촌 주거환경을 근본적으로 개선할 것"이라며 "돌봄시설 및 사회복지시설을 갖춘 주택을 공급하는 등 쪽방거주자 뿐만 아니라 토지등 소유자도 재정착할 수 있도록 지원할 것"이라고 말했다.
ssuccu@fnnews.com 김서연 기자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