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산업일반

로봇시장 매년 20% '고성장'…韓경쟁력 美·유럽 80% "정책금융 필요"

뉴스1

입력 2022.09.15 06:15

수정 2022.09.15 06:15

지난 1월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열린 'CES 2022'에서 영국의 로봇기업 엔지니어드아트의 휴머노이드 로봇 아메카가 전시돼 있다. 2022.1.7/뉴스1 ⓒ News1 조태형 기자
지난 1월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열린 'CES 2022'에서 영국의 로봇기업 엔지니어드아트의 휴머노이드 로봇 아메카가 전시돼 있다. 2022.1.7/뉴스1 ⓒ News1 조태형 기자


지난 1월4일(현지시간)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열린 'CES 2022''의 삼성전자 부스에서 사용자가 인터랙션 로봇 '봇 아이'를 부르자 다가가고 있다. ⓒ 뉴스1
지난 1월4일(현지시간)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열린 'CES 2022''의 삼성전자 부스에서 사용자가 인터랙션 로봇 '봇 아이'를 부르자 다가가고 있다. ⓒ 뉴스1


LG전자 클로이 가이드봇(LG CLOi GuideBot)이 서울 잠실 롯데호텔 월드에서 고객을 맞이하는 모습(LG전자 제공) 2022.4.21/뉴스1
LG전자 클로이 가이드봇(LG CLOi GuideBot)이 서울 잠실 롯데호텔 월드에서 고객을 맞이하는 모습(LG전자 제공) 2022.4.21/뉴스1


(서울=뉴스1) 문창석 기자 = 전세계 로봇 산업이 사람 대신 물류·청소·의료·접객 등을 돕는 '서비스 로봇'을 중심으로 커지면서 매년 20%씩 성장할 것으로 전망된다. 한국의 기술력은 현재 선도국인 미국·유럽·일본과 비교해 약 80% 수준으로 기술 및 산업 육성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15일 보스턴컨설팅그룹(BCG)에 따르면 전세계 로봇산업 규모는 2020년 250억달러(약 35조원)에서 연평균 20% 성장해 2030년 1600억달러(약 220조원)에 달할 것으로 추정된다.

고령화 심화와 삶의 질 향상 추구 등에 따라 로봇 산업의 성장축은 이송·용접·조립 등을 위한 산업용 로봇에서 물류·청소·의료·접객 등 서비스 로봇으로 점차 이동할 것으로 전망된다. 2020년 기준 132억달러인 산업용 로봇 시장 규모는 2024년까지 연평균 8% 성장할 것으로 예상되는 반면 같은 기간 서비스 로봇의 연평균 성장률은 20%에 이를 것으로 추정된다.


로봇의 대중화는 최소 5년은 걸릴 것으로 보인다. 아직 대중의 높은 기대 수준과 현재 로봇 능력의 격차가 크고 사업화 모델도 부족한 상태이기 때문이다. 시장조사기관 가트너는 현재 지능형 로봇 산업에 대해 선도기업의 성공 스토리가 나오기 시작하는 '기대의 정점' 초입 단계라며 관련 기술이 시장에서 자리잡는 '생산 안정화' 단계에 도달하기까진 5~10년이 걸릴 것으로 전망했다.

미국·유럽·일본 기업이 로봇 산업을 주도하고 있다. 서비스 로봇에선 물류·청소·수술 등 분야별 전문기업을 다수 보유한 미국이 가장 앞선 상황이다. 산업용 로봇의 경우 화낙(일본)·ABB(스위스)·야스카와(일본)·쿠카(독일)·카와사키중공업(일본) 등 유럽·일본의 5개사의 시장점유율이 약 60%인 과점 구조다.

한국의 로봇 산업은 제조업용 로봇과 부품·소프트웨어 중심으로 이뤄졌다. 한국로봇산업진흥원에 따르면 한국의 로봇 시장 규모는 2020년 기준 5조원으로 추산된다. 제조업용 로봇 비중이 52%, 부품·소프트웨어는 33%다. 서비스용 로봇은 16% 수준이다.

로봇 기술 경쟁력은 선진국과 비교해 아직 낮은 편이다.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은 한국의 스마트 제조로봇 기술이 최고 기술 보유국인 유럽의 80%, 서비스 로봇 기술은 미국의 80~83.5% 수준이라고 평가했다. 각 영역에서 유럽과의 기술 격차는 3년, 미국과의 기술 격차는 2년6개월~3년으로 추산된다. 특히 로봇 부품 기술은 최고 기술 보유국인 일본의 68.6% 수준이다.

로봇 관련 사업체 수는 약 2500개로 많지만 중소기업이 98.5%로 대부분이라 자본력이 약하다. 특히 매출 1000억원 이상 기업은 현대로보틱스, 로보스타, 한화정밀기계 등 5곳에 그치는 등 글로벌 경쟁력을 갖춘 기업은 소수인 상황이다.

서비스 로봇의 경우 한국 기업 중에선 삼성전자·LG전자가 주도하고 있다. 두 회사는 관련 매출이 500억원 이상인 유이한 기업이다. 삼성전자는 올해 초 CES에서 사용자와 소통하는 인터랙션 로봇과 가사 보조 로봇을 공개했다. LG전자도 가이드·배달 등 다양한 분야의 로봇을 본격 개발 중이다.

산업용 로봇 분야에선 대규모 수요처를 확보한 현대로보틱스(자동차)·로보스타(가전)·고영테크놀러지(반도체) 등이 선도하고 있다. 특히 현대차그룹은 2040년 사업 구조를 자동차 50%, 도심항공모빌리티(UAM) 30%, 로봇 20%로 전환을 추진하는 등 기존 사업 경쟁력 강화와 신시장 진출을 위해 로봇 사업을 강화하고 있다.

재계에선 로봇 산업이 신시장 개척뿐만 아니라 다양한 산업과의 연계성도 높다는 점에서 육성이 필요하다고 본다. 로봇 전방산업은 시스템통합 및 제조·서비스, 후방산업은 소재·부품 및 소프트웨어다.
이 같은 전후방 산업의 동반성장과 고부가가치화로 전 산업을 변화시킬 새로운 기반이 될 수 있다는 의견이 나온다.

전문가들은 국내 시장의 활성화와 기술력 제고, 해외시장 진출 전략 수립 등이 필요하다고 말한다.
이미혜 한국수출입은행 해외경제연구소 선임연구원은 "로봇 기업이 기술개발, 상용화 단계에서 자금 부족 등으로 사업화에 실패하는 것을 방지해야 한다"며 "대중화 되기까지 5~10년이 걸릴 것으로 예상되는 만큼 장기 금융지원이 가능한 정책금융 지원을 확대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