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종목▶
최근 스마트팜과 관련된 정책들이 이어지고 있다. 지난 14일 농식품부는 농식품 규제개혁 전략회의를 개최, 1차 규제 개선 과제를 발표했다. 주요 개선과제 중 가장 먼저 언급된 내용이 스마트 작물 재배 시설(수직농장 등) 관련 규정의 미비를 보완한다는 내용이다.
권명준 유안타증권 연구원은 "일정 요건이 충족할 경우 농업진흥구역 내에서도 설치할 수 있으며, 청년 농업인의 농지 확보 및 신용보증을 강화할 계획"이라며 "규제 개선을 통해 국내 스마트팜을 구축할 수 있는 지역들이 늘어날 수 있으며, 지원금 확대를 통해 투자에 대한 동력을 상향시킬 것으로 예상된다"고 말했다.
국내 스마트팜은 최근 공사 규모가 확대되고 있다. 온실 공사의 경우 10~30억원 수준이었다면, 정부 및 지자체에서 운영하는 스마트팜 혁신 밸리 조성 사업의 경우 60~80억원 이상의 사업이다.
권 연구원은 "품목이 확대되고 있다. 특용작물 위주에서 열대과일, 채소, 곡물까지 품목이 다양해지고 있다"면서 "정부 및 지자체에서 투자 및 운영 관리를 하는 B2G 뿐만 아니라 개인 및 조합 등에서 운영하는 민간형 사업도 확대되고 있다"고 말했다.
그린플러스는 국내 스마트팜 시공 능력 1위 기업이다. 국내 최대 규모 스마트팜을 시공한 경험을 보유하고 있으며, 설계부터 시공까지 전체 Process를 일괄적으로 처리할 수 있다.
권 연구원은 "규제 개선을 통해 스마트팜 구축 지역 확대의 경우 역시 시공 능력 1위 사업자에 대한 선호도가 높을 것으로 예상해 볼 수 있다"고 전했다.
이어 "그린플러스의 스마트팜 시공은 국내에서는 꾸준한 성장세를 보였지만, 해외향 매출은 정체돼 있었다. 일본을 제외하면 추가적인 성과가 없었기 때문"이라며 "2022년은 호주와 태국을 시작으로 해외로 사업영역을 확장하는 원년이 될 예정"이라고 전했다.
한편 남반부에 위치한 호주에서는 올해 1월 최고기온이 50도를 넘는 폭염을 기록했다. 2019년에도 46도를 넘는 폭염으로 전력망 부하, 단전사태가 발생한 경험이 있다.
권 연구원은 "이와 같은 이상기후로 농작물의 안정적인 생산공급에도 차질이 발생하고 있다"면서 "대안으로 스마트팜이 주목받고 있다"고 밝혔다.
kmk@fnnews.com 김민기 기자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