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국제사회

美 소행성 방어 위성, 목표물에 정확히 충돌 '인류 최초'

박종원 기자

파이낸셜뉴스

입력 2022.09.27 09:25

수정 2022.09.27 14:27

美 나사와 존스홉킨스 연구팀이 개발한 '다트' 위성, 목표물에 충돌 성공
충돌 결과 소행성 궤도 바뀌었는지는 좀 더 지켜봐야
실험 성공하면 인류가 최초로 지구 밖 천체 궤도 바꾼 셈
미국 항공우주국(NASA·나사)이 발사한 ‘쌍(雙) 소행성 궤도수정 실험(DART·다트)’ 우주선이 미국 시간 26일 소행성 '디모르포스'에 충돌하기 직전에 마지막으로 전송한 이미지들.UPI연합뉴스
미국 항공우주국(NASA·나사)이 발사한 ‘쌍(雙) 소행성 궤도수정 실험(DART·다트)’ 우주선이 미국 시간 26일 소행성 '디모르포스'에 충돌하기 직전에 마지막으로 전송한 이미지들.UPI연합뉴스


[파이낸셜뉴스] 미국 항공우주국(NASA·나사)이 지구로 다가오는 소행성의 궤도를 인위적으로 바꿀 수 있는지 시험하려고 쏘아올린 위성이 26일(현지시간) 목표 소행성에 정확히 충돌했다. 다트가 실제로 소행성 궤도를 바꾼다면 인류가 역사상 최초로 지구 밖 천체 궤도를 바꾼 셈이며 소행성 방어가 현실로 가능해진다.

나사의 따르면 나사의 ‘쌍(雙) 소행성 궤도수정 실험(DART·다트)’ 우주선은 한국시간으로 27일 오전 8시 15분에 지구에서 약 1100만km 떨어진 심우주에 떠돌고 있는 소행성 ‘디모르포스’에 정확히 충돌했다.

다트는 무게 620kg에 가로 1.8m, 세로 1.9m, 높이 2.6m의 음료수 자판기 크기의 우주선으로 미 존스홉킨스 대학 연구팀과 나사가 공동 개발했다. 연구팀은 지구에 위협이 될 만한 소행성을 방어하는 계획과 관련해 실제 데이터가 필요하다고 보고 다트 프로젝트를 시작했다. 이들은 움직이는 물체를 소행성과 직접 충돌시켜 궤도를 바꿀 수 있는지 확인하기 위해 지난해 11월 스페이스X의 ‘팰컨9’ 로켓에 다트를 실어 쏘아 올렸다. 이번 실험에는 3억3000만달러(약 4600억원)가 투입됐다.

디모르포스는 지름 163m의 축구장 크기 소행성으로 다른 소행성인 디디모스(지름 780m)의 주위를 11.9시간 주기로 돌고 있다.
나사는 충돌 1시간 전부터 유튜브 등을 통해 다트가 충돌하기 직전까지 관련 이미지를 생중계했다. 다트는 시속 2만2000㎞(초속 6.1㎞)의 속도로 소행성에 부딪쳤다.

이번 실험은 인류 역사상 처음으로 진행된 소행성 충돌 실험이다. 디모르포스의 궤도가 다트의 충격으로 바뀌었는지는 앞으로 몇 주에 걸쳐 지상 및 우주 망원경으로 관측해야 확인할 수 있다. 전문가들은 충격 이후 디모르포스가 디디모스의 주위를 도는 속도가 약 1% 느려지고 디모르포스의 공전주기도 몇 분 정도 줄어든다고 예측했다. 실제로 디모르포스의 궤도가 바뀌었다면 인류가 최초로 우주 밖의 천체의 궤도를 인위적으로 바꾼 것이다.

지구 주변을 배회하는 소행성들은 만에 하나 지구에 충돌할 경우 인류 문명에 치명적인 영향을 끼친다. 약 6600만년 전에 멕시코 유카탄반도에 충돌하여 공룡을 멸종시킨 것으로 추정되는 소행성의 지름은 12km였다. 나사 등은 현재까지 지구 주변에서 지름 1km 이상의 소행성 약 95%를 파악해 궤도를 감시하고 있지만 1km 이하의 작은 소행성들의 소재는 정확히 파악하지 못했다. 지름 140m 규모의 소행성은 지구 주변에 약 2만5000개가 있는 것으로 추정되지만 파악된 것은 1만개 수준이며 나머지는 정확한 궤도가 확인되지 않았다.

해당 크기의 소행성은 지구에 약 2만년에 한 번꼴로 충돌할 수 있으며 충돌할 경우 1~2km의 충돌구를 만드는 동시에 대도시를 초토화시킬 수 있다.
지난 2013년 2월 러시아 첼랴빈스크 상공에서 폭발한 소행성은 지름이 18m에 불과했지만 6개 도시의 유리창을 부수고 약 1600명의 부상자를 초래했다.

다트 사업은 이처럼 감시망 밖에서 갑자기 접근하는 소행성을 지구에서 방어할 수 있는 지 확인하기 위해 추진되었다.
현재 나사는 지구를 위협하는 소행성의 충돌을 방어하기 위해 무게 8t 규모의 충돌 전용 우주선인 ‘해머’를 개발하고 있다.

pjw@fnnews.com 박종원 기자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