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산업일반

中 희토류發 '제2의 요소수 대란' 조짐에 산업계 초긴장 [원자재 리스크 심화]

파이낸셜뉴스

입력 2022.10.11 18:07

수정 2022.10.11 18:07

美 반도체 對中수출 금지에 맞불
中관영지 "희토류 수출 통제해야"
산업계 "공급망 리스크 예의주시"
中 희토류發 '제2의 요소수 대란' 조짐에 산업계 초긴장 [원자재 리스크 심화]
미국의 대중국 수출 통제 강화 조치에 맞서 중국 내에서 희토류의 미국 수출을 통제해야 한다는 주장이 나오면서 국내 산업계가 긴장하고 있다. 희토류는 세륨, 란탄, 디스프로슘 등 17종 원소를 총칭하는 광물자원으로 반도체는 물론 전기차 모터, 스마트폰, 전투기, 미사일 레이더, 원자력잠수함, 태양광셀 등 첨단장비 제조에 사용돼 '첨단산업의 비타민'이라 불린다. 중국은 세계 매장량의 37%, 세계 공급량의 90% 이상을 점유하고 있어 수출 통제에 나설 경우 한국과 미국 등 관련 국가들의 피해가 우려된다.

■"美中 경쟁격화 시 쓸 수 있는 카드"

11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중국의 관영 영자지 글로벌타임스는 미 국방부가 중국산 희토류가 사용됐다는 이유로 록히드마틴의 F-35 전투기 인수를 보류했다가 재개했다는 소식을 전하며 "중국은 국가안보를 위해 희토류를 포함한 전략적 물자 수출 제한을 선택할 수 있다"고 보도했다.

베이징의 군사전문가 웨이둥쉬는 글로벌타임스와의 인터뷰에서 "선진 무기·장비의 연구개발과 생산은 희토류 없이는 불가능하다"며 "미국이 중국의 주권과 영토 완전성, 발전 이익을 해칠 수 있는 군사 목적에 중국산 희토류를 사용하는 상황에서 중국은 희토류 제품의 수출에 더 엄격한 통제를 가하는 방안을 고려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글로벌타임스는 공산당 기관지인 인민일보 계열로 그간 중국 정부의 입장을 대변해 왔다.

중국의 희토류 수출 제한이 실제로 이뤄질 경우 국내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온다. 전문가들은 "중국 당국이 당장 수출 제한 카드를 꺼낼 가능성은 낮다"면서도 "향후 미중 간 패권경쟁이 격화되면 중국으로선 충분히 고려할 수 있는 가장 효과적인 카드"라고 평가했다.

희토류는 중국 정부가 타국과 분쟁이 생겼을 때 단골로 들고 나오는 보복 카드였다. 실제로 지난 2010년 센카쿠(중국명 댜오위다오) 영토 분쟁이 생겼을 때 희토류 대일본 수출을 통제해 일본을 굴복시켰다. 미중 무역전선에 긴장감이 돌던 지난해 말에는 희토류 산업에 대한 외국인 투자 전면금지 조치를 내렸다.

■안정적 공급망 관리방안 필요

산업계는 제2의 요소수 대란이 벌어질까 바짝 긴장하고 있다. 복수의 업계 관계자는 "정부 차원의 발언이 아니라 공식적인 대응은 없지만 공급망 이슈와 관련해 파급력이 큰 사안이라 상황을 예의주시하고 있다"고 밝혔다.

희토류의 주요 응용분야 중 하나인 네오디뮴 영구자석(NdFeB)이 필수적인 전장(자동차 전기·전자장비) 및 부품 업계 관계자는 "현재 비축분이 충분하며 사태의 장기화를 대비해 안정적인 공급망 관리에 나설 것"이라고 전했다.
네오디뮴 영구자석은 전기차 모터, 풍력발전 터빈 등의 핵심 소재로 대중 수입 비중이 88.0%에 달할 정도로 중국 의존도가 절대적이다.

김동환 국제전략자원연구원장은 "배터리에 쓰이는 리튬과 코발트는 중국 외 선택지라도 있지만 첨단장비 등에 쓰이는 중(重)희토류는 중국 외 대안이 없다"면서 "미국의 탈중국화 요구가 거세지는 상황 속에 중국이 통관절차의 복잡화나 수출쿼터 축소 등 보복에 나선다면 국내 업계는 속수무책"이라고 경고했다.


김경훈 국제무역통상연구원 연구위원은 "희토류를 정제해서 제품으로 만드는 전 공정을 할 수 있는 나라는 세계에서 중국이 유일하다"면서 "단기적으로는 비축을 늘리고, 중장기적으로는 국가 간 협력을 통해 공급선을 안정화하는 방향으로 나아가야 한다"고 덧붙였다.

rejune1112@fnnews.com 김준석 기자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