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오롱글로벌 김정일 대표이사 사장은 창립기념사를 통해 “코오롱글로벌은 지난 60여년의 시간을 전 직원의 피와 땀으로 슬기롭게 잘 헤쳐 왔고 매출 4조5000억의 건실한 기업으로 성장했다”며 “사상 유례없는 원가 폭등 등으로 척박한 상황이지만 선제적인 리스크 점검과 반드시 이익을 창출하겠다는 일념으로 모두가 뭉쳐 달려가자”고 당부했다.
이날 코오롱글로벌은 올해 실적과 중장기 성장 비전을 밝혔다. 코오롱글로벌은 올해 9월 기준 누적 실적을 집계한 결과 건축부문에서 2조226억원, 인프라부문은 7182억원으로 총 누적수주 2조7408억원을 달성했다. 이는 지난해 같은 기간 실적(2조4000여억원)을 넘어서는 것으로 지난해에 이어 올해도 3조원대 신규수주를 향해 순항을 이어가고 있다. 코오롱글로벌의 전체 수주 잔고는 10조8000여억원에 달한다.
코오롱글로벌은 올해 초 대전 선화동 3차 주상복합 공동개발사업을 수주한데 이어 부산 대연동 가로주택정비사업장 3곳을 연계 수주하는 등 양질의 수주를 이어가고 있다. 또한, 여주~원주 제2공구 사업에서 철도 기술형입찰을 수주하고 해외에서 가나 교육부와 지속가능개발대학 건립사업 공사계약 등도 이루어내면서 다양한 영역에서 수주 및 지속 성장 중이다.
혁신을 바탕으로 한 신성장동력 확보에도 힘쓰고 있다. 코오롱글로벌은 풍력, 수처리 등 친환경기술을 통해 신재생에너지 사업자로서의 정체성을 강화하고 건설경기 불황 속에서도 성장 드라이브를 건다. 코오롱글로벌은 육상 풍력발전 부문에서 점유율 1위를 고수하고 있다. 경주 1·2단계(37.5㎿)와 태백 가덕산 1단계(43.2㎿)가 운영 중이고, 양양 만월산(46.2㎿)과 태백 가덕산 2단계(21㎿), 영덕 해맞이(34.4㎿), 영덕 호지마을(16.68㎿) 등 프로젝트도 시공 중이다. 여기에 노후 발전소를 최신 설비로 교체하는 리파워링 수주 등을 더해 신재생에너지 사업을 빠르게 확장하고 있다.
코오롱글로벌은 육상풍력단지에서 축적한 발전사업 노하우와 해상교량의 시공경험을 바탕으로 해상풍력 사업까지 선도하겠다는 전략이다. 현재 해상풍력을 추진하고 있는 국내 건설사 중 해상교량 실적과 육상풍력을 직접 개발 및 시공, 운영까지의 경험을 보유한 업체는 코오롱글로벌이 유일하다. 코오롱글로벌은 지난달 산업통상자원부로부터 400㎿ 규모의 '완도 장보고 해상풍력 발전사업' 허가를 취득하고 이후 후속 작업에 본격 돌입했다.
코오롱글로벌은 보유한 풍력발전단지를 활용, 물을 전기분해하는 수전해 방식을 통해 청정수소 생산도 계획하고 있다. 코오롱글로벌은 이미 지자체 등과 청정수소 인프라 관련 협업도 추진하면서 적극적 행보를 보이고 있다. 코오롱글로벌은 지난 7월 충청북도, 충주시 등과 청정수소 생산, 활용사업 추진을 위한 업무협약을 맺었다. 업무협약에 따라 코오롱글로벌은 그린수소 생산설비 구축, RE100 산업단지 조성 등을 통해 중부권 청정수소 생산·공급을 위한 ‘수소생산거점’을 본격 구축해 나갈 예정이다.
건축 부문은 ‘모듈러 기술’을 앞세워 성장세를 이어간다. ‘모듈러 공법’이란 구조체를 포함해 건축 부재의 70% 이상을 공장에서 사전 제작한 후 공사 현장에서는 설치와 내외장 마감 등만 진행하는 방식으로 공사 현장에서의 작업을 최소화할 수 있고 이축·재설치가 가능해 공사 기간 단축과 친환경성, 안전성 측면에서 주목받고 있다. 코오롱글로벌은 건설현장에서만 공사를 수행한다는 기존 건설 산업의 패러다임을 넘어 ‘탈현장화’를 촉진하고 모듈러 사업의 강자로 자리매김한다는 계획이다.
이 밖에도 코오롱글로벌은 세계 최초로 ‘저에너지 분리막(멤브레인) 수처리 기술’을 통해 수처리 사업도 확대하고 있다. 또한 국내 최초로 음식물쓰레기, 분뇨 등 유기성 폐기물을 처리해 수소를 생산하는 신기술이 고도화 개발 과정에 돌입하는 등 지속가능한 미래 성장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코오롱글로벌 김정일 대표이사 사장은 “산업 흐름에 부응하게 사업구조를 재편하고 사업방식과 시스템을 전환해 사업에 지속성을 부여해야 한다”며 “중장기 성장사업인 풍력과 개발, 수처리, 모듈러(OSC) 등 동력을 지속 확보하면서 새로운 미래를 만들어 가겠다”고 말했다.
true@fnnews.com 김아름 기자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