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종목▶
스타트업 엑셀러레이터 스파크랩 10주년 기념 간담회
이한주, 김유진, 김호민, 버나드문 대표 한 자리에
이한주, 김유진, 김호민, 버나드문 대표 한 자리에

[파이낸셜뉴스] "경기가 좋든 아니든 초기 투자는 계속 늘어나고 있다. 스타트업은 망하는 게 정상이다. 100개가 시작하면 1년 뒤 10개만 살아남아도 정말 성공하는 거다. 그러니 망하는 게 두려워서 멈추지 마라."
3일 서울 강남구 코엑스 오디토리움에서 열린 스타트업 액셀러레이터 스파크랩 10주년 기념 기자 간담회에서 이한주 스파크랩 공동 대표는 이 같이 말했다. 이제 막 시작하는 스타트업들에게 도전을 멈추지 말라는 의미를 전하기 위해서다.
스파크랩은 지난 2012년 출범한 글로벌 스타트업 액셀러레이터다. 글로벌 역량을 갖춘 스타트업을 발굴해 성장을 지원하고 있다. 발란, 원티드랩, H2O호스피탈리티, 엔씽, 스파크플러스 등 우수 스타트업 270여 개에 투자했으며, 이들 포트폴리오사의 총 후속 투자 유치액은 지난해 말 결산 기준 총 1조3000억원, 총 기업 가치는 6조7000억원에 달한다.
최근 경제 상황이 악화되면서 초기 스타트업들의 사업 의지가 떨어지는 상황이다. 하지만 이 대표는 "미국과 중국의 패권 싸움으로 전 세계가 몸살을 앓고 있다"며 "제3의 생태계를 찾고 있는 상황에서 한국 스타트업 생태계가 기술적인 부문에서 앞서갈 수 있을 것"이라고 자신했다.
한편으로는 좋은 스타트업을 고르는 '옥석 가리기'가 중요해졌다는 이야기도 나온다. 김유진 대표는 "다양한 백그라운드를 가진 사람들이 창업을 많이 하고 있다"며 "우리는 그들의 (지금까지 못 본) 솔루션들을 찾아가는 것"이라고 귀띔했다.
이 대표는 "결국 기업 가치를 결정하는 건 현금창출력"이라며 "스타트업들이 처음엔 현금을 창출하지 못하겠지만, 투자를 받고 몇 십 년 후에 현금을 얼마나 창출할 지 창업자도 투자자도 이해를 하고 있어야 한다"고 조언했다.
스파크랩 공동대표들은 스타트업의 성장을 위한 정부 역할에 대해서 거듭 강조했다. 김호민 대표는 "앞으로 정부에서 많이 (독려)해야 하는 건 소프트웨어(SW) 부문이라고 생각한다"며 "왜 우리나라는 기업간거래(B2B) 클라우드에 조 단위 회사가 안 나올까 싶은데, 하드웨어는 이미 세계 최강이기 때문에 소프트웨어 부문만 더 강화하면 될 것 같다"고 조언했다.
김유진 대표는 "중소벤처기업부가 운영하는 팁스(TIPS)처럼 민간과 협업하는 모델이 다양하게 나타나면 좋을 것 같다"며 "초기 단계 스타트업 지원에 집중해야 한다"고 전했다.
향후 스파크랩은 초기 창업자에 집중해 서비스를 고도화하고 빅데이터, 인공지능(AI) 기반 액셀러레이터 플랫폼 구축을 통해 프로그램 운영 및 포트폴리오 관리를 체계화한다는 계획이다. 스파크랩은 현재 △액셀러레이터 애플리케이션(앱) △스파크랩 큐(Q) △스파크랩 아이(I) 등 세 가지 플랫폼을 기반으로 한 시스템을 운영하고 있다.
김호민 대표는 "스파크랩의 다음 목표는 AI 기술을 활용한 자체 통합 플랫폼의 개발로 최신 투자 트렌드, 최적 투자자 및 펀드 매칭 추천, 후속 투자 유치 기회 알림 기능 등 스타트업 액셀러레이터(AC), 벤처캐피탈(VC)업의 효율을 극대화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한편 이날 진행되는 '스파크랩 데모데이 엑스'엔 최태원 SK그룹 회장이 연사로 참석했다. 최 회장은 '미래 기업 가치 창출의 핵심: 고객과의 관계, 스토리 그리고 신뢰'라는 주제로 창업자들과 인사이트를 나누는 시간을 가졌다.
soup@fnnews.com 임수빈 기자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