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이낸셜뉴스] 14년간 전국의 전통시장이 200개 이상 사라진 것으로 나타났다. 백화점과 대형마트 등이 골목상권 역할을 대신하면서 전통시장 입지가 점차 좁아진 것으로 분석된다.
21일 소상공인시장진흥공단에 따르면 지난 2020년 기준 전국 전통시장 수는 1401개로 14년 전인 2006년 1610개 대비 209개(13.0%) 줄었다.
시도별로 살펴보면 같은 기간 경북이 191개에서 138개로 53개 줄어 감소 폭이 가장 컸다. 전남은 123개에서 90개로 30개 줄었으며 부산(-23개), 충남(-20개), 경남(-18개). 서울(-17개), 경기(-15개) 등이 그 뒤를 이었다.
전통시장 수가 사라지면서 점포 수도 줄어들었다. 지난 2006년 22만5725개였던 점포 수는 2020년 20만7145개로 1만8580개(8.2%) 감소했다. 같은 기간 전통시장 한 곳당 일평균 매출액 역시 5787만원에서 5732만원으로 1.0% 감소했다.
전통시장과 함께 대표적인 골목상권으로 꼽히는 동네 슈퍼마켓과 전문소매점도 부진한 것은 마찬가지다. 통계청에 따르면 올해 1~9월 전문소매점의 소매판매액은 100조3000억원으로 관련 통계가 있는 첫해인 2015년 1~9월보다 1.5%(1조5000억원) 감소했다. 슈퍼마켓 및 잡화점 소매판매액도 33조원에서 34조6000억원으로 7년간 5.0% 증가하는 데 그쳤다.
이처럼 전통시장과 소상공인 등 골목상권이 부진을 보이는 것은 백화점과 대형마트, 편의점 등이 세력을 확장하면서 골목상권 역할을 점차 대신했기 때문으로 보인다. 실제 백화점의 소매판매액은 2015년 1~9월 20조6000억원에서 올해 1~9월 27조6000억원으로 34.1% 증가했다. 편의점은 12조1000억원에서 23조2000억원으로 92.7% 증가해 소매판매액이 거의 두 배 가까이 늘었다.
특히 코로나19 이후로 유통시장 구조가 온라인으로 빠르게 이동하면서 디지털 서비스에 상대적으로 약한 전통시장과 소상공인은 더욱 힘들어졌다는 분석이다.
정부도 전통시장과 소상공인의 디지털 역량 강화가 중요하다고 보고 온라인 교육과 배송 중요성 등을 강조하고 있다. 일부 전통시장에선 온라인 장보기 서비스를 시작했지만 아직까지 크게 활성화되지 않은 상황이다.
중소벤처기업부 관계자는 "유통 시장 구조가 온라인 중심으로 점차 바뀌면서 전통시장과 소상공인도 디지털 역량을 강화할 수 있도록 최대한 유도하려고 방법을 계속 고민하고 있다"고 말했다.
welcome@fnnews.com 장유하 기자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