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52시간제 개편’ 게임업계 반응
정부가 주52시간제 유연화 카드를 만지작거리면서 게임업계도 상황을 예의주시하고 있다.
집중근로시간이 필수인 게임사 특성상 제도개편에 원론적으로 찬성하는 입장이다. 다만 코로나 이후 줄어든 '크런치 모드'(장시간 업무를 지속하는 것) 등 악습이 부활할 것이란 우려의 목소리도 일부에서 나온다.
13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미래노동시장연구회(연구회)는 전날 노동시장 개혁을 위한 정부 권고안에 주52시간제를 업종 및 기업 특성에 맞게 유연화하는 등의 내용을 담았다.
현행 주52시간제는 주당 기본근로시간 40시간에 최대 연장근로시간이 12시간까지 허용되는 방식으로 운영되고 있다. 연구회는 연장근로시간 관리기준을 현행 '주' 단위에서 '월, 분기, 반기, 연'으로 다양화해 선택권을 넓히도록 하자고 제안했다. 물론 장시간 노동의 부담을 덜기 위해 기간에 따라 연장근로시간의 총량은 비례적으로 감축하도록 권고했다.
개편안대로라면 게임사는 개발인력을 보다 효율적으로 운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주요 신작 개발 마감과 출시 일정에 맞춰 연장근로시간을 활용 및 관리할 수 있어서다. 아울러 급하게 발생한 버그를 해결하거나 해외 서비스에 대응하기 위해서라도 유연근무는 필요하다는 입장이다. 한 게임업계 관계자는 "코로나로 재택이 많아지고, 주52시간제에 영향을 받으며 업계 전반적으로 신작이 지연되고 있었다"며 "개발 막바지에 한꺼번에 인력을 투입하고, 아닐 때는 여유롭게 운영하는 등 유연한 인력활용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다만 연장근로시간 관리단위만 길어져 '크런치 모드' 등 악습을 부활시키는 조치가 될 것이란 시선도 있다. 크런치 모드란 신작 출시 등을 앞두고 장시간 노동을 하는 것으로, 과로사 등을 야기할 수 있어서다. 이런 현상은 주52시간 근무제도가 자리 잡으며 잦아들었다. 이에 대해 중소 게임개발사 관계자는 "현행 주52시간제도도 꼼수 등으로 제대로 안 지켜지는데 개편되면 피부로 느껴지는 노동 강도는 더 심해질 것"이라며 "개발인력이 부족하면 더 뽑으면 될 일인데 경기불황으로 쉽지 않아 경영진 입장에서는 고민이 많은 듯하다"고 귀띔했다.
일각에선 인력 모시기가 중요해진 만큼 부작용이 크지 않을 것이란 의견도 있다. 또 다른 게임업계 관계자는 "게임사들이 너도나도 좋은 개발인재를 영입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며 "현 상황에서 크런치 모드가 자주 있다거나 워라밸이 좋지 않다는 인식은 인재 유치에도 독이기 때문에 우려하는 상황은 발생하지 않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soup@fnnews.om 임수빈 기자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