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인의 반중(反中) 정서가 세계 56개국 중 가장 강한 수준이라는 설문조사 결과가 나왔다. 중국발 미세먼지와 중국의 코로나19 대응이 이러한 결과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조사됐다.
24일(현지시간) 미국 외교 전문매체 디플로맷에 따르면 중앙유럽아시아연구소(CEIAS) 등이 참여한 국제 연구진은 2020~2022년 56개국 8만여명을 대상으로 ‘시노폰 보더랜드 프로젝트’를 실시했다.
해당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연구진은 올해 4월 11일부터 6월 23일까지 한국 성인 남녀 1364명을 대상으로 중국에 대한 인식 등을 묻는 설문조사를 진행했다.
조사 결과 한국인 응답자 가운데 무려 81%가 중국에 대해 부정적(‘부정적’ 또는 ‘매우 부정적’)으로 인식한다고 답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조사 대상 56개국 가운데 가장 높은 수준이다. 2위인 스위스(72%)나 3위 일본(69%)과 비교해도 10%포인트 가량 높다.
2015년 미국 여론조사기관 퓨리서치가 시행한 비슷한 조사에서 중국을 부정적으로 바라보는 한국인의 비율이 37%에 그쳤다는 점에 고려하면 반중 정서가 최근 몇 년 동안 급격히 강해진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디플로맷은 중국에서 온 ‘미세먼지’가 한국인의 반중 정서에 가장 크게 작용했을 것이라고 분석했다. 대부분 국가가 ‘중국의 군사력’를 부정적으로 인식하는 것과 달리 한국은 ‘글로벌 자연환경에 대한 중국의 영향’을 이유로 들었기 때문이다. 디플로맷은 실제로 미세먼지가 지난 몇 년 동안 한국과 중국 사이에서 뜨거운 논쟁거리가 돼왔다고 지적했다.
디플로맷은 지난 2018년에 미세먼지에 대해 중국의 책임을 물어달라는 국민청원에 27만 명의 한국인이 참여했고, 2019년 중국 대사관 앞에서 한국 보수단체가 관련 시위를 벌였다고도 짚었다.
이 밖에도 한국인 응답자들은 다른 국가들과 달리 ‘중국의 기술’에도 부정적인 편이었고, ‘중국인’에 대해서도 77%가 부정적으로 인식했다.
특히 한국인 응답자들은 중국의 코로나19 대응에 대해서 부정적인 반응을 보였다. 한국인들이 중국 하면 떠올리는 단어 중 ‘코로나19’가 가장 많았으며, 이 밖에도 ‘역사 왜곡’, ‘더러움’, ‘가짜’, ‘오염’ 등 부정적인 단어들이 주로 언급됐다.
다만 한중 관계에 큰 영향을 미쳤던 ‘사드’(THAAD·고고도 미사일 방어체계)는 한국인이 중국을 생각했을 때 연상하는 단어에 포함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연령별로는 2030 세대의 반중 정서가 가장 강했으며, 경제적 여유가 있을수록 반중 정서가 약한 것으로 확인됐다고 디플로맷은 덧붙였다. 디플로맷은 “사회경제적 지위가 높을수록 중국을 경제적 측면에서 기회의 국가로 여기기 때문”이라고 해석했다.
sanghoon3197@fnnews.com 박상훈 기자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