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국제경제

中, 美와 무역전쟁 와중에 아시아와 밀착

파이낸셜뉴스

입력 2022.12.29 16:19

수정 2022.12.29 16:23

아세안-中 무역 규모, 2018년 이후 71% 증가
아시아 국가들, 미중 갈등 이용해 어부지리
美, 아시아 포섭하려면 中과 무역 대체하는 대안 제시해야
지난 25일 촬영된 중국 광둥성 선전의 옌톈 항구.AFP연합뉴스
지난 25일 촬영된 중국 광둥성 선전의 옌톈 항구.AFP연합뉴스


[파이낸셜뉴스] 미국과 무역분쟁을 하고 있는 중국이 지난 4년에 걸쳐 미국 등 서방 대신 인도 등 이웃한 아시아 국가들과 무역 규모를 크게 늘렸다. 전문가들은 아시아 국가로 중국을 포위하려는 미국의 전략이 먹히지 않고 있다며 아시아를 포섭하려면 미국 역시 유인책을 제시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28일(현지시간) 보도에서 중국 해관총서(세관) 자료를 자체 분석한 결과 지난 11월 기준으로 중국과 동남아시아국가연합(ASEAN·아세안) 10개국의 1년치 무역 규모가 9790억달러(약 1240조원)라고 전했다. 이는 미국이 처음으로 중국산 제품에 보복관세를 적용했던 2018년 7월 보다 71% 증가한 숫자다.

중국이 비(非)아세안 국가인 인도와 교역한 규모 역시 2018년 7월~2022년 11월 사이 49% 증가했다.
같은 기간 미국 및 유럽과 무역 규모는 각각 23%, 29% 늘어났다.

중국이 아세안, 미국, 유럽과 진행한 무역 규모는 2018년 하반기만 하더라도 각각 비슷한 규모였다. 그러나 미국과 중국의 교역은 무역전쟁이 한창이던 2019년과 2020년에 크게 줄었다. 양국의 교역은 코로나19의 세계적 대유행(팬데믹) 동안 미국에서 재택근무로 인해 전자제품 수요가 급증하고 대부분의 전자제품이 중국에서 생산되면서 다시 증가했다. 유럽과 무역도 미국과 비슷한 형태를 보였다.

WSJ는 아세안 국가들이 미국과 보복관세를 주고받는 중국과 협력한 이유에 대해 2가지라고 분석했다. 첫 번째는 중력 효과다. 신문은 국가들이 무역을 할 때 더 가깝고, 더 거대한 시장에 밀착한다고 지적했다. 이는 북미에서 캐나다와 멕시코가 미국과 밀착하는 현상과도 연관이 있다.

또한 신문은 두 번째 이유로 중국의 수출품을 꼽았다. 중국은 저렴한 스마트폰이나 값싼 공장 설비 등을 수출하고 있으며 이는 아세안의 신흥시장 국가에 꼭 필요한 물건들이다. 게다가 중국은 2021년부터 세계 최대 다자간 자유무역협정(FTA)인 역내포괄적경제동반자협정(RCEP)을 출범하여 동남아 국가들과 관세를 줄였다.

WSJ는 아시아 국가들이 중국과 밀착하는 동안 미국과도 무역을 늘렸다고 지적했다. 이어 미중 양국의 갈등으로 인해 아시아 국가들이 어부지리를 얻는다고 설명했다. 미국은 중국과 무역 전쟁을 벌이면서 저렴한 중국산을 대체하기 위해 아세안에서 수입을 늘렸다. 미 세관 자료에 따르면 미국이 2018년 7월 이후 아세안과 무역한 상품 규모는 현재 89% 증가했다. 지난 10월 기준으로 미국이 아세안에 수출한 1년 치 상품은 4500억달러 규모로 2018년 중반(2620억달러)에 비해 크게 늘었다.

WSJ는 최근 미중 갈등으로 중국에 있던 많은 기업들이 아세안으로 이동하고 있지만 이 역시 중국과 아세안의 연결을 강화한다고 지적했다. 신문은 아무리 공장이 이동한다고 해도 이들이 작동하려면 중국과 거래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올해 토니 블링컨 미 국무장관과 캐서린 타이 미 무역대표부(USTR) 대표는 아시아 국가들에게 미국과 중국 중에 양자택일을 강요하지 않겠다고 밝혔다. 이에 대해 미 싱크탱크인 피터슨국제경제연구소(PIIE)의 채드 보운 선임연구원은 “아시아 국가들이 어찌됐든 중국과 거래할 이유는 많다”고 강조했다.


WSJ는 2021년에 중국이 대만 문제로 리투아니아에서 모든 수입을 중단해 보복한 사례를 지적했다. 이어 미국이 아시아 국가를 포용하려면 중국에 의존하면 위험하다는 인식을 강조하며 대안을 제시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신문은 미국이 주도했다 탈퇴하고 이제는 일본이 주도하는 다자간 FTA인 포괄적·점진적 환태평양경제동반자협정(CPTPP)을 언급하며 미국이 재가입하는 것도 방법이 될 수 있다고 분석했다.

pjw@fnnews.com 박종원 기자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