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권 펀드·채권·IB

“내년 자산운용사 ESG 임팩트투자 비중 높아질 것”

파이낸셜뉴스

입력 2022.12.30 10:31

수정 2022.12.30 10:31

신한자산운용 ‘2023년 ESG 투자시장 전망’
사진=신한자산운용 제공
사진=신한자산운용 제공
[파이낸셜뉴스] 내년 환경·사회·지배구조(ESG) 지속가능성 증명 요구가 강화되면서 임팩트투자(Impact Investing)와 적극적 오너십(Active ownership) 전략 비중이 증가할 것이란 전망이 나왔다. 올해 내내 지적됐던 그린워싱(위장환경주의) 방지 규정이 강화되고 ESG를 향한 적극적 투자 목적 및 개입이 필요해지는 데 따른 흐름이다.

30일 신한자산운용이 발간한 ‘2023년 ESG 투자시장 전망’ 보고서에는 이 같은 내용이 담겼다.

해당 보고서를 작성한 손미지 신한자산운용 ESG전략팀 차장은 “비교적 손쉽게 ESG 요소를 적용할 수 있는 ESG 통합, 스크리닝 등 소극적 개입 전략 비중은 감소 추세”라며 이 같이 예상했다.

내년에도 ESG 중 ‘E’ 관련 신상품 출시가 주를 이룰 것으로 판단됐다.
특히 미국 인플레이션 방지법(IRA) 통과로 친환경 투자 혜택이 늘면서 관련 산업 사업성이 개선되고 투자 선택지도 확대될 가능성이 높다.

손 차장은 “내년에도 경기 불확실성이 높고 고물가, 고금리 부담이 지속되며 ESG 투자시장이 2020~2021년 정도의 성장세를 보이기는 어려울 것”이라면서도 “친환경 투자처 저변 확대 및 연기금 자금 집행 등으로 소폭 성장은 유지될 전망”이라고 짚었다.

특히 PwC에 따르면 아시아태평양 지역 향후 5년간 예상 성장률은 3.3배로 유럽(1.5배), 북미(2.3배) 등을 웃돌았다. 다만, 글로벌 기관투자자들 ESG 관련 규제 및 컴플라이언스 비용이 증가한 만큼 운용사 간 ESG 도입 수준 양극화 현상이 빚어질 수 있다.

이와 함께 ESG 펀드 기준에 대한 외부 규제가 강화되고 내부 검열이 진행될 것으로 보인다. 유럽이나 미국과 달리 국내에선 관련 논의가 본격 진행되고 있지 않다. 자의적 분류가 집행되고 있는 게 현실이다. 다만 해외 금융사들 그린워싱 벌금 부과 사례가 잇따르고 있어 국내에서도 내년 금융당국의 가이드라인 제정 및 운용사 자체 기준 마련이 이뤄질 가능성이 크다.

‘G’도 약진 중이다. 그동안 국내 상장사에 대한 주주관여(Engagement) 사례는 외국계 헤지펀드가 주도했으나 2020년부터 국내 운용사들이 서서히 전면에 나서고 있다. 손 차장은 “(행동주의 펀드 등이) 더 이상 단기 차익을 노리는 ‘기업 사냥꾼’이 아니라 ‘기업 가치 상승을 위한 중장기 파트너’로 인식이 바뀌었다”고 분석했다.

‘S’ 관련 안건은 마직 미미한 수준이다. 신한자산운용이 아시아 지역 주주행동주의 사례를 ESG 요소별로 분류한 결과 사회 비중은 4%에 불과했다.
미국(31%), 유럽(19%)을 한참 밑도는 수준이다.

taeil0808@fnnews.com 김태일 기자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