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이낸셜뉴스] 북한 무인기의 남하 당시 이를 먼저 탐지한 전방 육군 부대와 서울을 지키는 부대 간의 의사소통이 이뤄지지 않은 이유로 무인기의 비행 방식이 꼽히고 있다.
당시 무인기는 직선이 아닌 지그재그로 비행했는데, 이 과정에서 무인기의 작은 크기와 비정상적인 항로를 통해 레이더 상에 잡히지 않아 목적지 추측에 혼동을 준 것으로 분석됐다.
10일 군에 따르면 지난달 26일 오전 10시 25분경 육군 1군단이 북한 무인기의 이상 항적을 처음 포착했다. 하지만 서울 및 수도권에 소재한 수도방위사령부는 25분이 지난 10시 50분경 자체적으로 서울 항공의 이상 항적을 포착했다.
사후 밝혀진 당시 1군단 레이더에는 10시 19분부터 항적이 나타나고 있던 것으로, 최소 25분 이상 전방 1군단과 수방사 사이에서 중요 정보 공유가 되지 않았다. 1군단은 상급 부대인 지상작전사령부에도 오전 11시 10분이 돼서야 이상 항적을 보고했다고 알려졌다.
1군단의 상황 전파가 늦어진 이유로 북한 무인기가 비행할 당시 직선이 아닌 좌우 종횡으로 날아다녀 서울로 향한다는 사실을 군이 제때 인지하지 못했기 때문이라는 분석이 제기되고 있다. 무인기는 한강을 따라 비행할 때도 이 같이 날아다녔다.
조사 결과 북한 무인기는 사전 입력한 GPS(인공위성위치정보) 좌표에 따라 자동 비행한 것으로 파악됐다.
무인기는 사전 입력 좌표 비행에서 북한이 미리 파악하고 있던 아군 방공진지 등에 가까워질 때마다 최단 거리 직선 경로에서 수백 미터가량 벗어나는 기동을 하도록 설정돼 혼란을 준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2017년 경북 성주 주한미군 사드(THAAD·고고도 미사일 방어체계) 기지까지 내려갔던 북한 무인기도 이런 식의 비행을 구사했던 것으로 알려졌다.
특히 북한 무인기는 2m급 소형으로 레이더상 탐지와 소실이 반복돼 일관된 항적 파악이 어려운 상황이다. 이로 인해 무인기가 서울로 향한다는 것을 군이 뒤늦게 파악하면서 의사소통이 제때 이뤄지지 않았을 것으로 보인다.
helpfire@fnnews.com 임우섭 기자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