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 조선·해운·철강
中 경기부양 속도에 업황 영향
우크라 전쟁 종료땐 수요 회복
中 경기부양 속도에 업황 영향
우크라 전쟁 종료땐 수요 회복
11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올해 철강업계는 전 세계적 경기둔화로 수요 반등이 쉽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포스코경영연구원 리서치센터 공문기 연구위원은 "제조업 생산 둔화, 국내 건설경기 부진에 철강 내수가 영향을 받을 것"이라며 "글로벌 철강수요도 위축돼 수출 확대를 통해 내수의 어려움을 타개하는 것도 한계가 있을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산업은행은 최근 발간한 '2023년 산업전망'에서 글로벌 철강수요는 지난해보다 1.0% 늘어난 18억1470만t를 기록할 것으로 내다봤다. 올해 국내 철강 생산량은 7155만t으로 전년 추정치 대비 3.8% 소폭 증가할 것으로 예측했다.
원자재 가격 상승세도 부담을 높이는 요인으로 꼽힌다. 수요부진으로 가격을 쉽게 올리지 못하는 상황에서 제조원가가 오르면 수익률이 나빠질 수밖에 없다.
민동준 연세대 신소재공학과 교수는 "중국의 코로나 봉쇄 완화에 대한 기대감으로 철광석, 코크스 등 원재료 가격이 오르는 상황"이라며 "올해는 전기료 인상까지 언급돼 전기로를 사용하는 철강사들의 어려움이 가중될 수 있다"고 말했다.
세계 최대 철강 소비국인 중국의 위드코로나 안착과 경기부양 속도에 따라 국내 시황도 일정 부분 상승할 수 있다는 예측이 나온다. 우크라이나 전쟁이 종료될 경우 복구수요를 일으켜 철강업계에 호재로 작용할 수 있다.
산업연구원 이재윤 소재·산업환경실장은 "중국 정부가 부동산·인프라 정책을 확대하면 철강업이 반짝 수혜를 볼 것"이라면서도 "중국은 탄소감축을 위해 노후설비에서의 철강 생산을 줄이는 기조를 유지하고 있어 유의미한 업황 반등은 없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아울러 EU가 CBAM 도입에 잠정 합의하면서 '친환경 전환'이 업계의 주요 과제로 부상했다. CBAM은 EU 지역에서 생산되는 제품보다 탄소배출량이 많은 제품에 추가 관세를 부과하는 제도로 올 10월부터 시범 적용되고 2026년부터 본격 시행된다. 특히 우리나라 철강산업은 EU 수출액이 상당한 데다 탄소배출이 많은 고로 공정의 비중이 높아 수출에 큰 타격이 예상된다.
이 연구원은 "탄소배출이 없는 '수소환원제철' 기술 등은 아직 어느 국가도 도달하지 못했다"며 "새로운 판이 열리는 만큼 기술을 수입해 쓰기보다는 한국이 주체적으로 개발·표준화하려는 시도를 해볼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이어 "당장 저탄소 제품을 늘리려면 탄소배출이 적은 고철 활용을 늘리는 것도 방법"이라며 "고철 수급을 원활히 하는 정부 지원도 도움이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yon@fnnews.com 홍요은 기자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