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권 증권일반

"금이냐 주식이냐"...증시 상승랠리 이어 치솟는 금값

파이낸셜뉴스

입력 2023.01.29 15:17

수정 2023.01.29 15:21

국제 금값…온스당 2000달러 고지·최고가 청신호
외국인 한 달 7조원 가까이 산 증시 순항중
27일 서울 종로구 한국금거래소에 골드바와 금제품이 전시돼 있다. 사진=뉴스1
27일 서울 종로구 한국금거래소에 골드바와 금제품이 전시돼 있다. 사진=뉴스1

[파이낸셜뉴스] 연초부터 이어진 국내 증시의 상승세 속에 국제 금값도 거침없이 오르고 있어 투자자들의 투자 고민이 깊어지고 있다. 코스피 상승랠리를 주도한 외국인 순매수세가 당분간 이어질 것으로 보이는 가운데, 안전자산인 금 가격 추세도 금리 인하와 함께 더 오를 수 있다는 분석이 나오고 있다.

■사상 최고가 향하는 금값
29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지난해 말부터 상승세를 이어온 금값은 지난해 8월 코로나19 사태 속 최고가격을 기록했던 때와 비슷한 수준을 보이고 있다.

지난 26일(현지시간) 국제 금 선물가격은 6주 연속 상승하면서 1온스당 1940달러를 넘어섰다. 지난해 9월 저점으로부터 20% 상승한 수치다.


금 외에도 은과 백금 등 귀금속 가격이 함께 올랐다. 은의 경우 최근 3개월 간 25%, 백금은 15% 상승했다.

시장 참여자들은 금값 상승세가 당분간 지속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미국 연방준비제도(Fed, 이하 연준)이 공격적인 금리 인상을 중단하고 금리 인하로 돌아설 것으로 예상되는 데다 중국이 '제로 코로나' 정책을 폐기한 것도 금값 상승에 긍정적인 요인으로 꼽힌다.

일부 전문가들은 금값 상승세가 2000달러 고지를 넘어 역대 최고가인 2069달러를 넘어설 것이란 전망도 조심스럽게 내놓고 있다.

실제 최근 미국 국채 금리가 하락했고, 달러화도 지난해 9월에 비해 10%가량 약세를 보이면서 금에 대한 수요가 확산했다는 설명에 힘이 실린다. 지난해 미국 국채에 몰렸던 헤지펀드들이 최근 금 선물시장에 자금을 풀고 있다는 분석도 나온다.

박상현 하이투자증권 연구원은 "금 가격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다양한 데 안전자산 수요, 인플레이션 헤지 수요, 산업용 수요에 영향을 받는 동시에 달러화 흐름에도 변동하는 특성을 보유하고 있다"라며 "이러한 특성을 고려할 때 최근 금 가격랠리의 주된 동력은 달러화 약세와 수요 회복(중국 경기 모멘텀 강화) 기대감이다"라고 판단했다.

다만 시장 일각에서는 금값의 역대 최고치 경신 가능성이 높다고 동의하면서도 여러 변수가 남아있다고 신중론을 펴고 있다.

짐 스틸 HSBC 귀금속 분야 수석 애널리스트는 "향후 연준이 속도 조절에 나서겠지만, 금리 인하를 단행하지 않는다면 금 투자자들이 실망해 투자 수요가 줄어들 것"이라고 말했다.

증권사 한 관계자는 "지난해 말 올해까지 달러 약세 추세를 전망하면서 금 가격의 상승이 이어갈 것으로 내다봤지만, 변수는 중국 경기였다"라며 "리오프닝 기대감에도 치솟는 확진자 수와 당국의 정책 방향에는 아직 리스크가 남아있다"라고 판단했다.

■변동성에도 오르는 증시
주식시장은 외국인 투자 열풍에 연일 상승세다. 지난해 12월 29일 2236.40에 마쳤던 코스피는 이날 현재 2484.02로 11% 넘게 상승했다.

외국인은 단연 증시 상승의 수급 주체로 떠올랐다. 이번 달에만 6조8301억원, 7조원에 가까운 주식을 유가증권시장에서 사들였다.

지난해 말까지만 해도 글로벌 경기 침체와 고금리, 고물가 상황에 어려움이 예상됐던 국내 증시의 회복세가 이어지자 연일 매도우위를 보인 개인 투자자들도 시가총액 상위 대형주를 중심으로 조금씩 지갑을 열 것으로 보인다.

미국의 양호한 국내총생산(GDP) 성장률 발표에 경기 연착륙 가능성이 높아지며 위험선호 심리도 지속되고 있다.

하향 추세를 이어가고 있는 상장기업들의 이익 추정치는 변수다.
설 연휴로 거래일이 많지 않았지만, IT와 금융 업종을 중심으로 이익 추정치는 올해 들어서도 하향 조정이 진행 중이다. 지난 27일 해운주가 일부 기업의 호실적 발표에 크게 오른 점도 이 같은 상황을 반영한 결과로 풀이된다.


염동찬 한국투자증권 연구원은 "1월 말과 2월 초 대형주의 실적 발표가 몰려 있다"라며 "이익 추정치 하향 조정은 좀 더 지속될 가능성이 높은 상황이다"라고 전망했다.

dschoi@fnnews.com 최두선 기자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