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종목▶
[파이낸셜뉴스] 오랫동안 K팝 업계를 선도한 이수만 SM엔터테인먼트 전 총괄 프로듀서가 자신을 뛰어넘고 K팝 대표주자로 거듭난 하이브의 방시혁 의장과 손잡았다.
SM엔터테인먼트와 지난해 계약이 종료된 이수만 프로듀서가 자신의 SM엔터테인먼트 지분을 하이브에 넘기기로 했다.
10일 하이브는 “SM엔터테인먼트 창업자인 이수만 전 총괄 프로듀서가 보유한 지분 14.8%를 4228억원에 인수하는 계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이로써 하이브는 SM엔터테인먼트의 단독 최대주주에 오를 것으로 보인다.
하이브는 “SM엔터테인먼트 지분 인수는 양사의 글로벌 역량을 결집시켜 세계 대중음악 시장에서 게임 체인저로 도약하기 위함”이라고 밝혔다.
방탄소년단, NCT, 에스파 한솥밥? "적과의 동침"
하이브의 SM엔터테인먼트 인수가 성공적으로 마무리되면 방탄소년단, 세븐틴, 엑소, NCT, 에스파 등이 한솥밥을 먹는다. 그야말로 초대형 '공룡' 기획사가 탄생된다.
하이브에는 방탄소년단을 필두로 세븐틴·투모로우바이투게더·엔하이픈·뉴진스·르세라핌 등 인기 K팝 스타들이 포진해 있다. SM엔터테인먼트는 1세대 아이돌 H.O.T.를 필두로 일본 시장을 개척한 보아를 비롯해 슈퍼주니어, 소녀시대, 샤이니, 엑소, NCT, 에스파 등 인기 IP를 보유하고 있다.
가요계와 K팝 팬덤 사이에서는 하이브의 SM엔터테인먼트 인수를 두고 "두 케이팝 거물의 시너지가 기대된다"는 의견과 "초거대 기업의 등장으로 독과점이 우려된다"는 시각이 교차한다. 팬들 사이에서는 “회사가 커지면서 상대적으로 내 아티스트가 소외될까봐” 우려하는 목소리도 들린다.
한 음악평론가는 두 K팝 거물의 결합에 대해 “이수만 프로듀서가 경영권 방어를 위해 한때 라이벌 관계였던 방시혁 의장의 손을 잡았다"며 "그만큼 절박한 상황이었던 것으로 보이는데 결과적으로 적과의 동침이 됐다"고 짚었다.
이어 "하이브의 이번 SM엔터 인수는 하이브가 초창기 몸집을 키우는 과정에서 플레디스엔터테인먼트, 쏘스뮤직 등 중소 레이블을 인수한 것과 질적으로 다른 문제다. 중소 기획사들이 (거대 기업 탄생과 관련해) 독과점을 우려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한 음악업계 관계자도 “케이팝의 다양화가 필요한데 하이브 중심으로 재편되는 게 우려스럽다”며 “그렇지 않아도 중소기획사가 살아남기 힘든데, 빈익빈부익부가 심화될 것”으로 우려했다.
“SM엔터가 새롭게 도약하길 바랐다. 하이브의 SM엔터 인수가 성공적으로 이뤄지면 이수만 체제가 계속될텐데 과연 좋은 일인지 의구심이 든다”고 지적했다. “이수만의 부재를 우려하나, 케이팝에는 좋은 인재가 많고, 또 산업화가 되면서 한 명의 스타 프로듀서 중심에서 벗어나야 한다. JYP가 그 성공 사례"라고 말했다.
박진영 JYP 대표는 지난 2018년 'JYP2.0 비전'을 발표했다. 아티스트 별로 레이블을 만들고 아티스트의 음악과 콘텐츠는 레이블 내에서 독자적으로 기획해 제작한다는게 요지였다. 박 대표는 당시 "제가 없어도 회사가 잘 운영될수 있게 만들고 싶었다"고 말했다.
이 음악업계 관계자는 특히 이수만의 개인회사 라이크기획과 관련해 "납득할 수준이 아니지 않냐"고 비판했다. 앞서 SM의 경영권 분쟁을 촉발한 행동주의 펀드 얼라인파트너스는 이수만이 앞으로 70여년간 매년 수십억원을 챙기는 계약을 체결했다고 주장했다.
SM엔터와 라이크기획의 용역 계약이 지난해 주주 항의로 조기 종영됐지만, 라이크기획 프로듀싱 라이선스 계약 별지2 '계약 종료 후 정산에 관한 약정'에 따르면 2092년까지 기존 발매한 음반 음원 수익에 대해 로열티 6%를 받고, 2025년말까지 매니지먼트 수익에 대해서도 로열티 3%를 수취하게 돼 있다고 주장했다.
하이브는 이날 이러한 여론을 의식한 듯 "SM엔터테인먼트의 문제점으로 지적돼온 운영 구조 선진화에 만전을 기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이수만 전 총괄 프로듀서는 이미 SM 엔터테인먼트와 개인 회사인 라이크기획 간의 계약 해지라는 대승적 결단을 내린 바 있다"며 "이번 하이브와의 합의 과정에선 라이크기획과 SM엔터테인먼트간 계약 종료일로부터 3년간 일몰조항에 따라 일부 수수료가 이 전 총괄에게 지급되는 내용을, SM엔터테인먼트의 지배구조 개선에 대한 의지를 보여주는 차원에서 지급받지 않는 것으로 결정했다"고 전했다.
이어 "개인 차원에서 보유하고 있던 SM엔터테인먼트 관계사들의 지분도 하이브에 양도하여 지배구조 개선 작업에 전폭적으로 협조하기로 했다"고 부연했다.
하이브, SM엔터 시너지와 이수만에 대한 평가는?
김도헌 대중음악 평론가도 SNS에 “SM 3.0 발표가 누군가에게는 과격하게 다가왔을 수 있다. 하지만 고질적인 병폐를 해결하고 긍정적인 방향으로 발전을 지향한다는 점에서 기대할 부분이 많았다”며 “내게는 오늘의 인수 소식이 더욱 폭력적으로 느껴진다. 자부심을 느끼고 있던 SM의 모든 구성원과 아티스트 그리고 팬들이 받을 상처를 생각하면 더욱 그렇다”고 썼다.
SM엔터테인먼트 소속 배우 김민종은 앞서 이수만 없는 SM에 우려를 표하며 "SM 아티스트의 활동에 이수만 선생님의 프로듀싱과 감각적 역량이 꼭 필요하다"고 말했다. 동시에 이수만 없는 SM에 대한 지지도 나왔다. 직장인 익명 커뮤니티 블라인드 SM게시판에 "과거의 영광에 취해 있지 말고 정신을 바짝 차려야 한다"는 글이 올라왔다.
한 대중음악 평론가는 “SM이 하이브에게 업계 1위 자리를 뺏긴 뒤 실패 요인이 이수만의 낡음, 구태의연함에 있지 않냐는 지적이 있었다”며 “‘광야’ 세계관도 장점이 있지만 오히려 그 규모가 커지면 새로운 팬덤이 유입되는 장벽이 될 수 있다고 본다. 요즘 아이브나 뉴진스를 보면 특별한 세계관이 없어도 노래 자체로 흥행하지 않았냐”고 말했다.
그러면서도 "(하이브의 이수만 지분 인수에 대해) 기대와 우려가 반반이다. 하이브로 편입된 레이블이 카카오로 편입된 레이블보다 좀 더 나은 퍼포먼스를 보여준다는 점에서 카카오-SM엔터 연합보다 하이브-이수만 연합이 더 좋은 시너지를 내지 않을까 하는 기대는 있다"고 말했다. 또 해외 투자를 받은 카카오와 달리 하이브는 자기 자본으로 이수만의 지분을 인수하기로 했다는 점이 비교된다.
한 팬은 SNS에 "카카오로 간다면 누가 크리에이티브 디렉터인가? 크리에이티브 디렉터가 얼마나 중요한지는 럭셔리 브랜드들만 봐도 안다"며 이수만의 프로듀싱 능력을 언급했다.
한편 하이브는 3대 사업 축인 레이블과 솔루션, 플랫폼 분야에서 SM엔터테인먼트와 전략적 시너지 창출에 나서겠다고 밝혔다.
SM엔터테인먼트는 앞서 지난 2월 3일, 미래의 핵심 전략인 "라이크기획의 단일 프로듀싱에서 멀티 제작센터/레이블 체계로의 변화, SM 3.0”을 발표했다.
또 이날 'SM 엔터테인먼트 최대주주 측의 가처분 신청 및 하이브 인수설에 대한 공동대표이사 및 경영진(센터장 이상 상위직책자 25인) 입장문'을 통해 "우리는 하이브를 포함한 외부의 모든 적대적 M&A를 반대한다"고 주장했다.
또 카카오와 전략적 제휴이후 카카오의 SM엔터테인먼트 인수설을 의식한 듯 "카카오와의 전략적 제휴는 SM 3.0 전략의 실행을 가속화하기 위한 회사의 의사결정에 따른 것으로 최대주주 측이 주장하는 경영권 분쟁과는 아무런 관련이 없다"고 반박했다.
jashin@fnnews.com 신진아 기자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