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 문화일반

'약탈 문화재' 교과서에 실은 일본.. 빼앗긴 보물 돌아올까

유선준 기자

파이낸셜뉴스

입력 2023.02.16 17:23

수정 2023.02.16 19:55

일본내 약탈 문화재 반환 분위기 생겨
문화·사학계 "우리 문화재, 꼭 되찾아야"
한국 절도단이 국내로 반입한 금동관음보살좌상. 1330년(충숙왕 17) 서산 부석사에서 제작됐다가 왜구에 의해 약탈된 것으로 추정./연합뉴스
한국 절도단이 국내로 반입한 금동관음보살좌상. 1330년(충숙왕 17) 서산 부석사에서 제작됐다가 왜구에 의해 약탈된 것으로 추정./연합뉴스

[파이낸셜뉴스] 일제 강점기 때 빼앗긴 한국 문화재들을 두고 일본의 일부 고등학교가 교재를 통해 반환 의식을 고취시키자 국내 문화·사학계가 환영하는 모양새다. 국제사회의 문화재 반환 여론에 발맞춰 빼앗긴 우리 문화재 모두를 되돌려 받아야 한다는 주장이 지배적이다.

'약탈 문화재 반환' 가르치기 시작한 일본

16일 문화·사학계 등에 따르면 학계는 일본 등 타 국가의 문화재 반환 의식이 점차 고조 되자 빼앗긴 문화재 반환을 요구하는 정책을 내야 한다고 판단 중이다.

앞서 일본 교과서와 교재를 만드는 '도쿄 호레이' 출판사는 올해 일본 고교생 역사 종합 교재인 '질문으로 시작하는 역사 종합'에 약탈 문화재 반환 문제를 실었다.

일본 학생 역사 교재에 약탈 문화재 반환 문제를 실은 것은 이 출판사가 처음이다. 해당 교과서에는 반환 문제 뿐만 아닌, 반환 의식을 고취시키는 내용도 있는 것으로 전해진다.

일본에 빼앗긴 보물급 문화재만 수만여점

최근 학계는 '유네스코 조약' 등을 근거로 정부 차원에서 일본과 프랑스 등 타 국가에 의해 약탈된 문화재 반환 요구를 해야 한다는 의견이 지배적이다.

1970년 제정된 유네스코 조약은 전쟁과 식민지 지배, 도난 등을 통한 문화재를 반환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한국은 이 조약에 1983년 가입한 바 있다.

김동현 향토 사학자는 "일본 등 다른 나라가 한국 문화재 반환에 동조하는 분위기가 있을 때 정부가 강력히 반환을 요구 해야만 한다"며 "일본 등에 빼앗긴 국내 문화재가 샐 수 없이 많은 만큼 후손을 위해 모두 되찾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우리 정부는 1962년 한일회담 당시 일본 정부에 4479점의 약탈문화재 리스트를 작성해 반환을 요구했지만 돌아온 것은 1/3에도 못 미치는 1326점에 불과했다. 일본에 빼앗긴 보물급 문화재 만도 수만여점에 이르는 것으로 추정된다.

이런 상황에서 그간 일본은 자신들의 약탈 행위를 부정하고, 식민 지배의 불법성을 인정하지 않아왔다.
일본 정부의 이 같은 기조에 비춰볼 때 최근 문화재 반환 분위기는 고무적이라는 게 학계의 반응이다.

현재 문화재청 등 역사 기관들은 일본 등 타 국가의 문화재 반환 분위기를 반기며, 반환 요구 대책을 논의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한 역사 기관 관계자는 "일본 자체가 약탈 행위에 대해 인정하지 않아왔는데, 최근 문화재 반환 의식은 여러모로 놀라울 따름"이라며 "여러 기관에서 반환 대책 등을 활발히 논의 중"이라고 전했다.

rsunjun@fnnews.com 유선준 기자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