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학부모는 분통, 업계는 고사 위기..교복 값, 무엇이 문제일까

박지연 기자

파이낸셜뉴스

입력 2023.02.22 16:38

수정 2023.02.22 16:38

[서울=뉴시스] 교복 나눔장터. (사진=뉴시스DB·기사와 관계 없음). photo@newsis.com /사진=뉴시스
[서울=뉴시스] 교복 나눔장터. (사진=뉴시스DB·기사와 관계 없음). photo@newsis.com /사진=뉴시스
[파이낸셜뉴스] #. 올해 경기도 용인 소재 고등학교에 입학하는 아들을 둔 학부모 A씨는 최근 교복을 맞추러 갔다가 예상치 못한 가격에 깜짝 놀랐다. 경기도는 교복 지원 일환으로 중·고등학교 신입생들에게 30만원 상당의 동·하복 교복 각 한 벌을 무료로 제공한다. 하지만 여벌 셔츠와 생활복, 체육복을 구매했더니 19만5100원을 자비로 내야 했다. A씨는 "일반 옷 가게에 가면 2만원 남짓일 셔츠를 학교 교복이라는 이유로 4만원 가까이 지불해야 한다"며 "특히 체육복이 7만9000원이라니 비싸다고 느꼈다"고 했다.

새학기를 앞두고 교복값에 대한 학부모들의 불만이 커지고 있다. 각 시·도가 교복 구입 지원금을 주지만 체육복 등을 추가로 구매할 경우 비용 부담이 늘었기 때문이다. 교복업계도 학부모들의 불만에 당혹스러워 하고 있다. 원자잿값과 인건비는 크게 올랐는데 교복 상한가 인상률은 낮아서 '버티기 힘들다'는 입장이다.


교복 지원에도 20만원 훌쩍
22일 각 시·도 교육청에 따르면 전국의 교복지원금은 1인당 30만원 안팎이다. 대다수 지자체는 30만원 상당의 동·하복 각 한 세트를 학생 입학 시 현물로 지급한다. 문제는 체육복이나 여벌 셔츠·조끼 등을 구매할 경우에는 학부모가 그 값을 전부 지불해야 하는데 교복값이 올라 부담이라는 것이다.

실제 경기 성남의 한 고등학교는 지난해 동복 재킷 4만8000원, 조끼 2만7000원이었지만 올해 각각 6만9000원, 3만8000원으로 올랐다. 대전의 또 다른 고등학교도 지난해 동복 바지 7만원, 하복 셔츠 4만3000원에서 올해 7만2000원, 4만5000원으로 올랐다.

급등한 교복값에 학부모들의 부담도 커지고 있다. 일각에서는 교복 현물 지급 제도가 교복 추가 구매를 되레 부추긴다는 불만도 나온다. 대다수 학교가 입학도 전에 신체 치수를 재고 교복을 맞추는데, 성장기인 자녀가 훌쩍 클 경우 교복을 아예 새로 구매해야 하는 경우도 태반이라는 것이다.

고등학교 1학년 자녀를 둔 학부모 B씨는 "아들이 중학교에 입학한 2020년에도 입학 초 무상으로 받았던 교복을 (코로나19로 인한 전면 비대면 수업으로) 택 한 번 떼지 못하고 작아져서 입지 못했다"며 "아이들은 금방 큰다는 점을 염두하고 교복을 더 사다 보니 돈이 많이 들 수밖에 없다"고 했다.

■물가 반영 더딘 하한가 경쟁 입찰
반면 교복 업계는 지지부진한 교복 인상률, 하한가 경쟁 입찰 방식으로 고사 직전에 놓였다고 하소연하고 있다.

정부는 가계 교복값 부담을 덜겠다는 취지로 2015년부터 '학교주관 교복구매 제도'를 시행하고 있다. 학교가 경쟁 입찰을 통해 교복 업체를 선정한 뒤 일괄 구매하는 방식이다. 각 시도 교육청은 매년 2월마다 전년도 말에 발표된 소비자물가 상승률을 반영해 이듬해 교복 상한가를 정하고 있다. 지난해 2월 각 시·도 교육청이 정한 올해 교복 상한가는 전국 평균 약 31만4000원 선이다.

하지만 업계에서는 교복값이 최근 급등한 원자잿값을 반영하지 못하고 있다며 한숨 쉬고 있다. 학교주관 교복구매 제도가 첫 시행된 2015년과 비교했을 때 교복 상한가는 겨우 11% 오른 반면, 교복 제작에 들어가는 양모·면 등 원자재는 각각 31%, 38%가량 올랐다.

박창희 한국학생복산업협회 사무국장은 "2021년 말에 발표된 소비자 물가 지수를 적용해 2023년 교복값을 정하고 있는 현행 방식은 급변하는 물가 현황을 반영하기엔 부족함이 크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또 최저가를 제시한 업체가 선정되는 입찰 방식 때문에 교복 상한가가 30만원에 육박해도 실제로는 그보다 낮은 가격에 팔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여기에 다품종 소량생산인 교복 산업 특성상 인건비는 배로 들어 실제 남는 수익은 적다는 설명이다.


박 사무국장은 "코로나19를 지나며 교복 공장들이 줄폐업하게 되는 등 직격탄을 맞았다"며 "학생·학부모·교복업계 모두가 상생할 수 있는 제도 개선이 필요한 상황"이라고 전했다.

nodelay@fnnews.com 박지연 기자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