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파이낸셜뉴스] 인공지능(AI) 기술이 보이스피싱에 사용돼 논란이 되고 있다. AI를 통해 가족이나 친척 등 가까운 지인의 목소리를 위조해 신종 사기 기법으로 악용되고 있어 논란이 가중되고 있다.
6일(현지시간) 영국 더 타임스는 캐나다 앨버타에 사는 벤저민 파커(39)가 최근 부모님이 자신의 목소리를 사칭한 보이스피싱 범죄 피해를 봤다고 보도했다.
보도에 따르면 파커의 부모는 최근 자신을 아들의 변호사라고 소개한 한 사람의 전화를 받았는데, 이 변호사는 파커가 교통사고로 미국인 외교관을 숨지게 한 뒤 수감돼 있다고 전했다. 변호사는 파커의 부모에게 아들을 바꿔줬고, 파커의 부모는 수화기 너머로 파커와 똑 닮은 목소리가 흘러나왔다고 전했다.
당시 파커의 부모는 통화 내용이 수상했으나 아들의 목소리가 맞다고 확신했다. 파커의 부모는 은행 여러 곳에서 돈을 인출한 뒤 변호사에게 비트코인으로 돈을 보냈으나 이날 저녁 진짜 아들의 전화를 받고서야 사기를 당했다는 사실을 깨달은 것으로 전해졌다.
더 타임스는 온라인에서 무료로 배포하는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을 통해서도 쉽게 목소리를 위조할 수 있다고 전했다.
파커는 "이들이 어디에서 자신의 목소리를 수집했는지 모르겠다"면서도 "AI 기술을 활용하면 단 몇 개의 문장만으로도 목소리를 위조할 수 있다"고 경고했다.
한편 파커는 자신의 부모를 속인 일당에 대해 "나이가 많은 사람들을 타깃으로 직계 가족의 이름을 알아내 범죄를 저지른 것 같다"고 덧붙였다.
newssu@fnnews.com 김수연 기자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