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18부상자회 증언식 참석한 김귀삼 3공수여단 중사
광주역 시위진압·옛 광주교도소 암매장 득문 증언
"형제는 시위대, 나는 군 복무 중"…사연 고백도
증언 마치고 5·18민주묘지 참배 "잘못했습니다"
과거 3공수여단에서 복무한 그는 그해 5월20일 광주역에서 벌어진 시위 진압에 투입됐으며, 옛 광주교도소 주둔 당시에는 주변을 오가는 차량을 향해 총을 쐈다고 고백했다.
시위에 자신의 형제들이 참여하는 등 기구한 상황도 설명한 그는 "계엄군이 심했던 것을 인정한다. 가해자가 지닌 멍에를 풀 수 있도록 도와달라"고 호소, 국립5·18민주묘지를 찾아 참배한 뒤 용서를 구했다.
5·18부상자회와 공로자회는 14일 오후 광주 서구 5·18기념문화센터에서 '오늘의 증언이 5·18진상규명의 첫걸음이다'는 이름으로 계엄군 증언회를 열었다.
증언회에는 진압에 투입됐던 김씨 등이 참석해 당시 상황을 담담하게 전했다.
광주 서구 치평동이 고향인 김씨는 1980년 5월20일 3공수여단 13대대 소속으로 민주화운동 진압에 투입됐다. 당시 오후 8시 광주역 진압 작전에 투입돼 이튿날 전남대 정문앞 시위 진압과 옛 광주교도소 주둔·경계 임무를 수행했다.
그도 이 과정에 가담, 붙잡혀 저항하는 시민들을 상대로 소총 개머리판 등을 휘둘렀다.
20일 오후 11시 광주역에서 벌어진 계엄군의 시위대를 향한 집단 발포 사건에 대해서는 구체적인 경위를 모른다고 설명했다. 자신이 속했던 대대는 실탄을 지급받지 않았기 때문이라고 덧붙였다. 당시 3공수여단은 시위대를 향해 집단 발포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 과정에서 광주 시민 최소 4명이 숨졌다.
광주 외곽 봉쇄 작전이 진행된 21일부터는 옛 광주교도소에 주둔하며 경계 임무를 맡았다고 말했다. 이 과정에서 교도소 주변을 지나는 차량을 향한 발포 명령을 받아 총을 쐈다고 증언했다.
전남대 시위 진압 과정에서 발생한 사망자들을 교도소 안뜰에 묻었다는 내용을 들었다고도 밝혔다. 다만 5·18 직후 보안사가 내려와 암매장 시신을 태우는 등의 방식으로 처리한 것으로 알고 있어 이들을 찾기 어려울 수 있다고도 말했다.
김씨는 "고속도로 진입로를 향해 파놓은 매복굴에 잠복, 지나는 차량을 향해 총을 쏜 사실이 있다"며 "당시 내가 그 작전에 참여한 게 맞다"고 밝히며 김태수씨를 향해 고개를 떨궜다.
김씨는 자신의 가족이 시위대에 있었다며 이들을 찾던 중 시위대에 총검을 휘둘렀다고도 했다. "잡힌 시위대 중 형제가 있는지 확인하려고 했으나 시위대의 저항이 거세 할 수 없이 착검하게 됐다"고 경위를 설명했다. 이 과정에서 시위대 중 한 사람을 상처입혔다고도 덧붙였다.
그는 "큰형과 둘째형, 동생이 시위대와 시민군에 합류했었다. 큰형은 5·18 이후 공장을 운영하다 부도를 겪은 뒤 숨졌고 작은 형은 서울로 떠났다. 동생은 계엄군에 구타를 당해 이빨이 다 빠지고 삼청교육대까지 끌려갔다"며 "아들들이 저마다 갈라서있는 상황에 어머니는 전남대 정문 앞 도로에서 매일 통곡했다"고 토로했다.
그러면서 "1981년 3월 전역 이후 광주로 돌아왔으나 (5·18 상흔으로) 고향에 뿌리내리지 못한 채 여태 숨어 살아왔다. 계엄군이 당시 광주 시민을 심하게 탄압한 것을 인정한다"고 사과하며 "다만 명령에 살고 죽었던 군인들은 좋아서 작전을 한 것이 아니다. 가해자 또한 가지고 있는 트라우마와 멍에를 풀 수 있도록 도와달라"고 밝혔다.
그는 방명록에 '화해와 용서를 통해 민주 성지 광주의 위대한 시민이 되길 바란다'고 쓴 뒤 참배단 앞에서 무릎을 꿇고 두 번 절을 했다.
이후 5·18 최초 희생자인 청각장애인 김경철 열사의 묘소와 행방불명자 묘역을 찾아 사죄를 전했다. 그는 참배 도중 "잘못했다. (우리 때문에) 피해가 너무 컸다"고 말하기도 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wisdom21@newsis.com, leeyj2578@newsis.com <저작권자ⓒ 공감언론 뉴시스통신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저작권자ⓒ 공감언론 뉴시스통신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