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바이오헬스혁신위원회 신속히 가동돼야
제3차 제약바이오산업 육성 위한 정부 역할 환영
바이오의약품 및 디지털 융복합 "성장 지속해야"
'제약주권' 급부상 원료의약품 자급률 높여나갈 것
제3차 제약바이오산업 육성 위한 정부 역할 환영
바이오의약품 및 디지털 융복합 "성장 지속해야"
'제약주권' 급부상 원료의약품 자급률 높여나갈 것
[파이낸셜뉴스] "오는 2027년까지 한국 제약바이오산업이 글로벌 6대 강국이 되려면 정부가 마련한 정책이 신속하고 체계적으로 곧바로 추진돼야 한다."
노연홍 신임 한국제약바이오협회 회장은 29일 서울 서초구 협회에서 취임 이후 처음으로 가진 기자간담회에서 이같이 밝혔다.
이날 노 회장은 제약바이오 산업계의 숙원인 국무총리 직속 디지털·바이오헬스혁신위원회의 신속한 설치 및 가동의 필요성과 함께 연구개발(R&D)에 대한 정부의 역할을 거듭 강조했다.
앞서 정부는 5년 뒤 연 매출 1조원 이상을 내는 '블록버스터'급 신약 2개 창출, 의약품 수출 2배(81억달러→160억달러) 상승, 임상시험 글로벌 3위를 달성하겠다는 제3차 제약바이오산업 육성·지원 종합계획을 발표한 바 있다. 제약바이오산업을 제2의 반도체산업으로 키우겠다는 것이다.
노 회장은 "2027년까지 4년 남았는데, 법령 개정과 위원회 구성 등 과제가 있어 목표 달성이 현실적으로 쉽지 않은 상황"이라며 "간담회 이후 정부 관계자들과 만나 빠르게 진행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이어 그는 "정부도 제약바이오산업 육성에 강력한 의지가 있기 때문에 지금은 실행이 가장 중요하고 성과를 낼 수 있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이날 간담회에서 노 회장은 한국 제약바이오산업의 발전을 위해서는 R&D에 대한 전폭적 지원이 필요하다면서 정부 R&D 지원 정책의 혁신이 필요하다고 여러 차례 강조했다.
노 회장은 "신약개발 등을 위해서는 R&D 투자가 무엇보다 중요한데 불행하게도 우리 산업계가 축적한 자본이 충분하지 않은 상황"이라며 "정부와 산업계가 힘을 합쳐 필요한 자금을 만들고, 한정된 재원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어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정부에서 제약바이오산업 발전을 위한 K-바이오·백신펀드, 메가펀드를 만드는 계획을 세웠다"며 "현 정부의 제약바이오 정책은 전체적으로 조정하고 유도하고 부족한 것을 끌고나가는 거버넌스가 있다는 점에서 기존 제약바이오 육성 정책과 달리 차별적이기 때문에 잘 진행돼 나간다면 또 한 번의 '퀀텀점프' 계기가 될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향후 한국이 글로벌 제약바이오 강국으로 도약하기 위한 발전 방향으로 노 회장은 바이오의약품과 디지털 융복합을 꼽았다. 자본력과 기술력에서 앞선 다국적 제약회사들과 경쟁하기 위해서는 기존 합성의약품 위주의 신약보다는 상대적으로 강점이 있는 분야에서 돌파구를 찾아야 한다는 것이다.
노 회장은 "현재 신약개발을 위한 모달리티가 매우 빠르게 변화하고 있고, 세포치료제나 유전자치료제, 이중항체치료제, 단백질체료제 등 혁신적 방식으로 신약이 만들어지고 있다"며 "바이오 의약품 개발 능력에서 한국은 메인스트림에서 많이 떨어져 있지 않고, 특히 디지털 능력의 경우 우리가 앞서 나가고 있다고 본다"고 말했다.
이날 간담회에서 노 회장은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의약품의 글로벌 공급망이 무너지면서 높아진 '제약주권' 확보의 필요성을 강조하고 정부에 원료의약품 자국화 실현을 위한 특단의 대책을 내줄 것을 당부했다.
노 회장은 "여러 가지 정치적 상황 등으로 원료의약품 수급이 어려워질 수 있는 상황을 우려하면서 정부와 협회가 원료의약품에 대한 가격우대 등 정책을 통해 자급률을 높이는 방법을 고민하고 위기를 기회로 만들 수 있도록 해야한다"고 말했다.
vrdw88@fnnews.com 강중모 기자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