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학·과학 병원

‘세계 골수종의 날(3월 30일)’..증상과 치료법은?

파이낸셜뉴스

입력 2023.03.30 09:04

수정 2023.03.30 09:04

김대식 고려대 구로병원 혈액종양내과 교수
김대식 고려대 구로병원 혈액종양내과 교수


[파이낸셜뉴스] 3월 30일은 전 세계적으로 다발골수종에 대한 인지도를 높이고 완치를 기원하기 위해 지정된 ‘세계 골수종의 날(International Myeloma Day)’이다. 다발골수종이 무엇이며 증상과 치료법은 어떻게 되는지 자세히 알아보자.

■전체 암의 0.6%, 70대 발생률 높아
30일 고려대 구로병원에 따르면 다발골수종은 백혈구의 일종인 형질세포가 악성화 되면서 과증식되는 질환을 말한다. 주로 골수에서 과증식 되는데, 다발골수종의 암세포는 M단백질이라고 불리는 비정상 단백질을 분비해 다양한 증상들을 유발하게 된다.

2020년까지의 국가암정보센터의 결과를 토대로 인구 10만명당 다발골수종 유병률은 10.7명으로 전체 암의 0.6%를 차지하고 있다. 다발골수종은 젊은 나이에는 거의 발생하지 않지만, 40대부터 발생률이 증가되기 시작해 70대에 가장 많은 빈도로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비정상적 골절·뼈 통증 있으면 의심
다발골수종의 발병 원인은 아직 정확하게 밝혀지지 않았다. 방사선, 농약, 살충제, 벤젠 등의 화학물질 노출, 유전적 요소 등이 발병 요인으로 거론되고 있지만 이런 요인들과 다발골수종 발병 사이의 인과관계가 뚜렷이 밝혀진 것은 아니다.

다발골수종의 대표적인 증상은 뼈 약화와 이로 인한 골절, 뼈 통증, 빈혈, 신장 기능 이상, 고칼슘혈증 및 감염 등인데 이들 증상이 나타난 단계라면 상당히 병이 진행된 경우가 많다. 척추에 압박골절이 생겼을 때 외상이 원인이 아니라, 다발골수종 같은 질병이 숨어있는 상태에서 나타난 병적골절인 경우가 대표적이다. 이런 경우 혈액내과가 아닌 진료과에서는 모르고 지나칠 수 있기 때문에 일반적인 척추압박골절에 대한 검사와 치료만 하다가 제대로 된 치료가 늦어질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

■방치시 만성 신부전까지 진행
다발골수종을 적절한 치료 없이 방치하면 각종 증상들이 악화된다. 척추뿐만 아니라 팔, 다리 등 전신에 골절이 생길 수 있다. 척추압박골절에 의해 척추가 주저앉으면서 통증이 유발이 되고, 심한 경우에 신경이 눌리면 마비 증상까지도 유발될 수 있다.

또 신장 기능 장애로 만성 신부전으로 진행되면 투석을 받아야 하는 등 다발골수종은 다양한 신체 기관에 영향을 미쳐 삶의 질을 저해하게 된다.

김대식 고려대 구로병원 혈액종양내과 교수는 “초기에 증상이 나타나지 않기 때문에 정기적인 검진을 통해 조기 발견하는 것이 중요하다"며 "특히 비정상적인 골절이 생기거나 뼈 통증 등이 지속된다면 혈액내과를 찾아 정확한 검사를 해보는 것이 좋다”고 조언했다.

■표적치료제, 면역항암제 조합해 치료
다발골수종의 치료는 면역항암치료가 기본이 된다. 기존에는 세포독성항암제들이 주치료법이었다. 최근에는 여러 가지 표적치료제, 면역항암치료제들이 개발돼 사용 중이다.

면역조절관련약제, 프로테아좀 억제제, 항체치료제, 세포독성 항암제, 스테로이드 등이 대표적인 치료제로 여러 가지 계열의 약제를 조합해 복합적으로 치료가 진행된다.

다발골수종은 자가조혈모세포이식으로 치료하기도 하는데 조혈모세포란 뼈 안에 존재하는 골수에서 생성되는 세포로 백혈구, 적혈구, 혈소판 등 여러 혈액세포를 생성하는 역할을 한다. 고용량의 항암제 투여로 손상된 골수의 재건을 돕기 위해 자신의 조혈모세포를 사전에 채집해두었다가 이식하는 것이 자가조혈모세포이식이다. 환자의 나이와 컨디션 등을 고려해 자가조혈모세포이식이 가능한 환자에서만 적용하게 된다.

다발골수종 환자들은 질병 자체로 인해서 혹은 치료 과정에서 합병증으로 고생하는 경우가 많다. 골절 및 뼈 통증을 예방하기 위한 약제를 사용하기도 하며, 통증이 심한 경우에는 진통제 사용 등을 통해 적극적인 통증 조절이 필요하다. 폐렴과 같은 감염이 발생할 경우 위험한 상황이 초래될 수 있으므로 예방적인 항생제도 사용하게 되며, 신기능 장애도 빈번하게 발생하므로 약제 사용 시 주의가 필요하다. 그 외에도 피부발진과 같은 알레르기 반응, 혈전증, 말초신경염 및 심부전 등의 부작용이 빈번하게 발생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세심한 치료가 필요하다.

■CAR-T 세포치료제 국내 허가
복잡한 발생기전을 가지는 다발골수종은 한 가지 원인을 타깃으로 하는 표적치료제를 사용한다고 해서 근본적으로 질병을 완치시키기는 어렵다. 또 종양의 진행에 따라 함께 다양한 돌연변이가 지속적으로 발생한다.

이로 인해 약물에 대한 저항성이 생겨 처음에는 효과가 좋았던 약제들이 시간이 지남에 따라 효과가 감소하게 되고 재발이 빈번해 지속적인 추적과 관찰이 필수적이다.

김 교수는 “다발골수종은 치료가 쉽지 않은 병으로 알려져 있지만, 다른 어떤 암보다도 새로운 치료법들이 빠른 속도로 개발되고 실제 임상에서 사용이 되면서 치료 성적이 눈부시게 발전하고 있다”며 “특히 2021년 CAR-T 세포치료제인 ‘킴리아’가 국내에 허가되어 악성림프종과 급성림프모구백혈병 환자의 치료에 도움이 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또 최근에는 다발골수종 CAR-T 세포치료제인 ‘카빅티’가 국내에서 허가돼 재발성, 불응성 다발골수종 환자의 치료에 도움이 될 전망이다.

camila@fnnews.com 강규민 기자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