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입비중 30%대 회복..25개월 만에 최대
대출 규제 풀리고, 주담대 금리도 하락세
대출 규제 풀리고, 주담대 금리도 하락세
최근 고가 대비 매물 호가가 상당히 내려간 가운데 특례보금자리론 신설과 생애최초 주택구입자 등 실수요층을 위한 대출 기준이 완화되면서 젊은층의 매수 심리가 회복되기 시작한 것으로 보인다.
2030 매입비중 전월보다 2%p 높아
2일 한국부동산원의 월별 매입자 연령대별 주택거래현황을 분석한 결과 지난 2월 20대 이하와 30대의 전국 아파트 매입 비중은 31.96%로 30%를 넘어섰다. 이는 전월의 29.85%보다 2%P 이상 높은 것으로 2021년 1월(33.0%) 이후 2년1개월 만에 최대 수치다. 매수 건수는 794건으로 전달(358건)보다 2배 이상 늘어났다.
2030세대의 전국 아파트 매입 비중은 계약갱신청구권, 전월세상한제 등 임대차2법 시행 이후 전셋값이 급등한 2020년 12월 34%를 넘어서는 등 고공행진을 해왔지만 정부의 대출 규제와 지난해 금리 인상 이후 27∼28%대로 떨어졌다. 그러다 지난해 말 15억원 초과 고가주택에 대한 주택담보대출이 허용되고, 올해 1월 말부터 소득과 상관없이 9억원 이하 주택에 대해 최대 5억원까지 연 4%대의 고정금리로 빌려주는 특례보금자리론이 신설(1년 한시)되면서 실수요층의 대출 문턱이 낮아졌다.
'생애 최초 주택구입' 등 청년층 자금조달 쉬워져
특히 생애최초 주택구입자에 대해서는 규제지역과 무관하게 주택담보대출비율(LTV)이 80%까지 허용되고, 국민주택기금에서 지원하는 생애최초·신혼 디딤돌 구입자금대출 한도도 각각 2억5000만원에서 3억원, 2억7000만원에서 4억원으로 상향되는 등 청년층의 자금 조달이 용이해지며 2030세대의 주택 구입이 다시 늘어난 것으로 보인다.
지열별로 살펴보면 지난해 10월 26%까지 떨어졌던 서울 아파트 2030 매입비중은 지난 2월 34.7%로 올라서며 1월(30.8%)보다도 4%포인트 가까이 증가했다. 구별로는 강서구의 2030 매입 비중이 54.7%로 전체 거래의 절반을 넘어섰다. 강서지역은 9억원 이하 아파트가 많고 최근 시세보다 싼 급매물이 늘면서 젊은층이 매입에 나선 것으로 보인다. 이어 성동구(45.6%), 금천구(45.5%), 영등포구(43.9%), 동대문구(42.9%), 도봉구(41.4%), 강북구(40%) 등도 2030 구매 비중이 40%대를 기록했다.
지난해 집값이 크게 하락한 경기도는 2030 매입 비중이 1월 32.7%에서 2월 36.4%로, 인천은 32.1%에서 33.1%로 각각 증가했다.
아파트 증여도 예년수준 회복
한편 올해 증여 취득세 과세표준이 시가 인정액(종전 공시가격)으로 바뀐 이후 연초 크게 감소했던 증여도 이달 들어 다시 늘며 예년 수준을 회복하는 모습이다.
서울 아파트의 경우 지난해 12월 과세 기준 변경 전 증여 수요가 한꺼번에 몰리며 29.9%까지 증여 비중이 치솟았으나 올해 1월 10.8%로 급락한 뒤 2월에는 13.9%로 다시 증가했다. 지난해 2월 증여 비중이 10.9%인 것을 감안하면 3%P 높은 수준이다. 다만 지난 2월 전국 아파트 증여 비중은 7.5%로 전월(8.6%)보다 소폭 하락했다.
jhpark@fnnews.com 박지현 기자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