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파이낸셜뉴스] 생성형 인공지능(AI) 챗봇인 '챗GPT' 사용이 보편화되면서 국내외 기업들이 앞다퉈 사내 단속에 나서고 있다. 챗GPT 사용 중 예기치 못하게 사내 핵심기밀이 외부에 유출될 경우 사업에 큰 차질이 불가피한 만큼 보안 강화를 위한 대책 마련을 고심하고 있다.
2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삼성전자 디바이스경험(DX) 부문은 임직원을 대상으로 챗GPT 사용 관련 설문조사를 진행하고 있다. 문항에는 챗GPT 사용 경험 여부, 사내 챗GPT 사용에 대한 생각 등이 담겼다. 삼성전자는 향후 설문조사 결과를 토대로 업로드 용량 제한, 업무 PC 사용 제한 등 내부 지침을 만들어 임직원에 공유할 계획이다.
삼성전자 반도체(DS) 부문도 사내게시판에 챗GPT 오남용을 주의하라는 메시지를 올렸다. 팀장들은 팀원들을 대상으로 챗GPT 사용 가능 범위 등을 교육하기도 했다.
SK하이닉스는 보안성 검토를 받아 일부 기능을 사용하는 경우를 제외하면 사내망을 통한 챗GPT 사용을 사실상 금지했다. 포스코는 사내 협업 플랫폼 '팀즈'에 챗GPT 기능을 도입했다. 오픈AI가 아닌 내부 인트라넷을 통해 챗GPT를 활용할 수 있도록 했다.
LG디스플레이는 사내 게시물, 교육, 캠페인 등을 통해 보안에 대한 중요성을 수시로 강조하고 있다.
해외에서도 챗GPT 사용에 따른 기밀 유출을 우려하는 기업들이 방지책을 마련하고 있다.
JP모건체이스, 뱅크오브아메리카, 씨티그룹, 골드만삭스, 도이체방크 등 주요 월가 은행들은 챗GPT 등 AI 챗봇 사용을 제한했다. 일본 최대 정보기술(IT) 기업 소프트뱅크는 최근 전 직원에게 챗GPT에 기밀 정보 입력 금지 등의 주의 사항을 통보했다.
미즈호파이낸셜그룹과 미쓰비시UFJ은행, 미쓰이스미토모은행은 챗GPT 등 대화형 AI를 업무에 이용하는 것을 금지하고 있다. 파나소닉홀딩스 산하 파나소닉커넥트는 정보유출 대책 마련 후 대화형 AI 활용을 허용했다. 후지쓰는 'AI 윤리 거버넌스실'을 설치했다.
업계 관계자는 "챗GPT를 계기로 향후 AI 관련 콘텐츠가 쏟아질 것으로 보인다"며 "새로운 기술의 출현에 발맞춰 보안 대책을 마련해야 하는 기업들의 고심이 커지고 있다"고 말했다.
mkchang@fnnews.com 장민권 기자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