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지정학의 시대 (3)
지정학 위기는 금융 불확실성↑
실물 자산에 대한 직간접 투자
자본흐름 왜곡으로 이어져
다양한 금융충격 파생시킬 것
KB·신한·하나·우리·NH농협 5대 금융지주 회장은 미·중 패권 경쟁과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등 지정학 변수로 기존 글로벌 경제·금융 질서가 바뀌고, 위험 또한 커질 것으로 내다봤다. 국제유가 등 원자재 가격 급등으로 인플레이션(물가 상승)이 지속되고 이에 따른 고강도 금리 인상, 공급망 차질까지 빚어지고 있다. 각자도생, 즉 글로벌 '분절화(fragmentation)'가 심화하고 있다.
지정학 위기는 금융 불확실성↑
실물 자산에 대한 직간접 투자
자본흐름 왜곡으로 이어져
다양한 금융충격 파생시킬 것
이로 인한 지정학 위험이 경영 활동의 기본 변수가 될 것으로 회장들은 분석했다. 지정학적 갈등과 맞물려 이른바 '지경학적 분절화(Geo economic fragmentation)'가 향후 한국경제를 뒤흔들 것으로 우려했다.
더불어 국제 무역, 기술의 분절화는 이에 수반되는 무역금융과 지급결제, 해외 진출, 해외직접투자(FDI) 등 금융업에도 차질을 줄 것으로 회장들은 전망했다. 특히 중국과 러시아 등 '탈달러' 경제블록에 금융 제재가 확산하면서 관련 금융, 투자 흐름도 왜곡될 수 있다고 이들은 분석했다.
오는 18일부터 20일까지 열리는 '2023 FIND-서울국제금융포럼·서울국제A&D컨퍼런스'를 계기로 파이낸셜뉴스가 3일 진행한 5대 금융지주 회장 인터뷰에서 이들은 지정학 위기로 인한 세계 경제 분절화를 기본값으로 인식했다. 다만 금융이 위험 방어와 감수, 두 역할을 모두 가지고 있는 만큼, 지정학 변수 위험과 기회요인이 있을 수 있다고 응답했다. 올해는 예상되는 위기에 대비하는 것이 가장 최선의 전략이라고도 했다.
특히 경제 블록화와 관련해 함영주 하나금융 회장은 '금융 분절화(financial fragmentation)' 개념을 제시했다.
진 회장은 특히 러-우 전쟁 변수를 크게 봤다. 그는 "러-우 전쟁은 글로벌 핵심 지역 중 하나인 유럽에서, 패권을 놓고 다투는 서방과 비(非)서방 간 본격적인 대결"이라며 "각 진영이 그동안 자원 개발과 공급, 제품의 생산과 수출, 소비와 자금 공급의 역할을 수행해 왔지만 러-우 전쟁 이후 이런 글로벌 밸류 체인은 더 이상 유지될 수 없게 됐다"고 진단했다. 그러면서 "두 진영은 각자 새로운 밸류 체인을 구성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으나, 오랜 기간 정착된 달러 결제 시스템과 글로벌 생산-소비 분업화, 각자의 분야 별 상대적 우위에 따른 경쟁력 차이 등을 고려하면 경제 불확실성과 금융시장의 변동성 확대는 지속될 가능성이 높다"고 강조했다.
■"실물경제 악영향·인플레 유발"
지정학 위기는 경제 블록화와 공급망 단절로 이어지고, 원자재 가격과 중간재 가격 상승을 통해 인플레이션을 높일 것으로 회장들은 예상했다.
고물가는 기준금리와 신용시장, 주식과 부동산 등 실물자산 가격에 반영된다. 또 자유무역주의가 후퇴하면 우리나라와 같은 교역 중심 국가의 잠재성장률은 낮아지고, 실물경제와 금융시장의 불확실성과 하방 위험 역시 커진다는 설명이다.
북한 변수도 거론됐다. 이석준 NH농협금융 회장은 "그동안 상수화됐던 북핵 위협이 최근 미·중 간 대립, 러-우 전쟁 등과 맞물려 동북아를 둘러싼 지정학 위험 요인으로 재차 부상하고 있다"고 짚었다. 이어 "실물에 대한 직간접 투자는 자본흐름 왜곡으로 이어져 다양한 금융충격을 파생시킬 수 있다"고 말했다.
위기 속 기회 요인을 포착하기 위한 지주 움직임도 읽혔다.
psy@fnnews.com 박소연 기자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