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생물공학회 행사에 세계적 연구자 한자리
양귀비 대신 효모로 진통제 만든 스몰케 교수
"산업 태동기 정부가 시설 등 지원 육성해 줘야"
양귀비 대신 효모로 진통제 만든 스몰케 교수
"산업 태동기 정부가 시설 등 지원 육성해 줘야"
[파이낸셜뉴스] 화석연료와 화학물질로 제품을 만드는 거대한 공장이 앞으로는 미생물과 효모가 점령하게 될 전망이다. 이는 첨단바이오 분야 중 하나로, 우리에게는 다소 생소한 합성생물학이다.
첨단바이오 기술이 학문에만 그치지 않고 산업으로 확산되기 위해서는 정부가 잘 이해하고 적극적인 지원정책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즉 산업 태동기에는 기업이 못하는 시설 등을 지원해 육성해야 한다는 것이다.
13일 제주에서 열린 한국생물공학회 춘계학술발표대회에 전 세계에서 내노라하는 합성생물학자들이 한자리에 모여 최신기술 소개했다. 합성생물학은 생물학과 인공지능 등 IT기술을 접목해 새로운 물질, 제품 및 생명체를 디자인하고 제작하는 기술이다.
세계 최초로 양귀비 대신 효모로 마약성 진통제를 만든 크리스티나 스몰케 미국 스탠퍼드대 교수는 "진통제가 필수의약품이지만 양귀비는 마약으로 분류돼 공급망 문제가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합성생물학을 활용해 언제 어디서든 진통제를 생산할 수 있도록 도울 수 있다"고 설명했다.
스몰케 교수는 2015년 양귀비 대신 효모를 이용해 마약성 진통 천연물을 만들어 주목을 받았다. 이후 원료의약물을 식물 대신 효모로 생산하는 스타트업 '안테이아'를 설립했다. 안테이아는 2021년 7300만 달러(약 958억원) 규모의 투자를 유치했으며, 지난해에는 바이오생산 시설 건설을 위해 4000만 달러(약 525억원)를 추가 유치하는 등 합성생물학계에서 떠오르는 기업이다.
우리 정부는 지난해 12대 전략기술 중 하나로 첨단바이오를 선정했다. 첨단바이오 중 합성생물학을 중점기술로 육성하겠다고 발표했으며, 현재 예비타당성조사를 진행중에 있다. 해외에서는 합성생물학을 활용하는 기업들이 속속 탄생하고 있지만 국내 기업들의 활용도나 새로운 기업의 탄생은 아직 부족하다.
이와관련해 연구와 창업을 모두 경험한 스몰케 교수는 정부가 바이오기업에 대한 이해가 있어야 육성정책이 제대로 이뤄질 수 있다고 강조했다. 즉 많은 자본이 필요하고 결과를 얻기까지 많은 시간이 필요하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는 것이다. 또 미국의 국가적인 정책 지원을 예로 들면서 "정부에서 연구개발(R&D)과 생산 등 다양한 지원을 제공한다"며 "기업을 받쳐주는 시설이 없으면 운영이 어렵기 때문에 한국정부에서도 이런 지원이 필요할 것"이라고 말했다.
monarch@fnnews.com 김만기 기자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