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 문화일반

함안 말이산 고분군 유리조각, 로마 양식 제품이었다

유선준 기자

파이낸셜뉴스

입력 2023.04.26 12:19

수정 2023.04.26 12:19

함안 말이산 고분군 유리조각, 로마 양식 제품이었다

[파이낸셜뉴스] 함안 말이산 고분군 유리조각들이 삼국시대에 유입된 로마양식 유리용기 '로만글라스' 제품으로 확인됐다.

26일 문화재청에 따르면 지난 2021년 발굴조사된 함안 말이산 고분군 75호분에서 5세기 무렵 제작된 중국제 연꽃잎무늬 청자그릇 1점이 출토됐다.

그 주변에서는 일반적으로 '로만글라스'라 불리는 둥글게 말린 장식이 달린 감청색 유리조각이 아라가야 권역에서는 처음으로 수습됐다.

이와 비슷한 유리조각이 경주 금관총, 사천왕사지 등 신라권역과 김해 대성동 고분군 91호분, 합천 백암리사지 등 가야권역에서도 발견된 사례가 있어 이 유리조각은 아라가야가 주변국과 교류했음을 보여준다.

문화재청 국립문화재연구원 국립가야문화재연구소는 유리 생산지 확인을 통해 유입 경로를 파악하고자 함안 말이산 고분군 출토 유리조각 2점과 김해 대성동 고분군과 경주 사천왕사지에서 출토된 유리조각 각 1점에 대한 과학적 분석을 실시했다.

그 결과, 유리조각 4점은 칼슘(라임)의 함량이 높고 알루미나 함량이 낮아 로만글라스라 부르는 소다-라임 유리로 확인됐다.

로만글라스는 소다 원료를 기준으로 다시 로마유리 또는 사사니아유리로 분류된다. 유리조각 4점을 소다 원료를 기준으로 분석한 결과 로마유리 또는 사사니아유리의 분류 범주를 벗어난 것으로 확인됐다.


천마총, 황남대총 등 신라 고분에서 출토된 로만글라스가 전형적 로마유리 또는 사사니아유리 범주에 포함된다는 점과 비교할 때 분명한 차이점이 확인됐다.

문화재청은 "이로 미뤄 보아 4점의 유리 용기 조각은 제작과정에서 기존 로만글라스와는 다른 제작원료를 사용하였고, 제작 집단 또한 상이했을 가능성을 보여준다"며 "로만글라스 형태의 유리 용기 조각이 영남권역에서만 발견되는 점을 볼 때 제작지와 제작 원료가 다양한 로만글라스가 고대에 한반도 영남지역을 중심으로 유통됐을 것"이라고 판단했다.


국립가야문화재연구소는 오는 29일 한국문화재보존과학회에서 함안 말이산 고분군에서 수습된 고대 유리 용기 조각에 대한 과학적 분석 결과를 발표할 예정이다.

rsunjun@fnnews.com 유선준 기자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