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접자금 조달 어려워진 기업, 금융사에 돈 빌려
금융권 기업대출 잔액 1874조원
2금융권 연체율 2.24%.. 6년 9개월만 최고
9월 상환 유예 조치 종료 이후 '더 상승' 우려
금융권 기업대출 잔액 1874조원
2금융권 연체율 2.24%.. 6년 9개월만 최고
9월 상환 유예 조치 종료 이후 '더 상승' 우려
1일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소속 양경숙 더불어민주당 의원실이 한국은행에서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4·4분기 비은행 금융기관(2금융권)의 기업대출 연체율은 2.24%로 전년동기(1.32%) 대비 0.92%p 올랐다. 이는 2016년 1·4분기(2.44%) 이후 6년 9개월 만에 가장 높은 것이다. 특히 지난해 연체율 상승세가 뚜렷했다. 1분기 1.57%, 2분기 1.59%에서 3분기 1.81%, 4분기 2.24%로 계속해서 상승했다.
특히 기업대출 규모가 지난 1년간 폭발적으로 증가했다. 비은행금융기관 기업대출 잔액은 지난해말 기준 652조 4000억원으로 1년새 110조 가까이 늘었다. 업권별로 살펴보면 상호금융의 기업대출 잔액이 349조원으로 가장 많았고 △보험사 142조 6000억원 △여신전문회사 90조 2000억원 △저축은행 70조 5000억원 순이었다. 여기에 은행권이 기업에 빌려준 돈(1221조 6000억원)까지 합치면 전체 금융권의 기업대출 잔액은 지난해말 기준 1874조원에 달한다.
문제는 기업에 돈을 가장 많이 빌려준 상호금융권의 연체율이 2금융권 중에서 가장 높다는 점이다. 상호금융의 기업대출 연체율은 지난해말 기준 3.30%로 전년동기(2.11%) 대비 1%p 이상 올랐다. 같은기간 여전사의 연체율은 0.44%에서 1.01%로 두 배 이상 올랐으며 저축은행에선 1.84%에서 2.83%로 상승했다.
다만 은행권의 기업대출 연체율은 0.27%로 전년동기(0.26%)와 비슷한 수준이었다. 상대적으로 연체율 관리가 잘 되고 있다는 의미다. 은행들은 기업대출 연체율이 늘자 부실 채권을 적극적으로 팔면서 지표를 관리해왔다.
이런 가운데 기업대출 연체율이 하반기 금융안정의 새 뇌관이 될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고물가, 고금리, 고환율로 기업들의 사업비용이 늘어나 채무상환 부담이 커진 데다, 은행채 발행 등으로 향후 금리가 더 오를 수 있어서다.
또 코로나19 피해 중소기업에 대한 금융지원 조치도 마무리돼 부실위험 및 한계기업들이 늘어나면서 연체율 상승이 불가피하다는 분석이다. 앞서 지난해 9월 금융당국은 코로나19 피해 중소기업 등에 대출 만기 연장을 최장 2025년 9월까지, 원리금 상환 유예 조치는 오는 9월 말까지 연장키로 했다. 다만 만기 연장은 금융사와 차주가 협의해야 해서 얼마나 연장될지는 미지수다. 이에 금융당국이 채무상환능력이 떨어지는 중소기업에 적극 채무조정에 나서고 금융권에서는 손실흡수능력 제고, 리스크 관리를 강화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dearname@fnnews.com 김나경 기자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