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일반경제

산업부, 尹 방미성과 후속 및 IPEF 3차협상 등 점검

이유범 기자

파이낸셜뉴스

입력 2023.05.01 13:26

수정 2023.05.01 13:26

안덕근 산업통상자원부 통상교섭본부장이 4월 27일 서울 서초구 KOTRA 대회의실에서 열린 '수출지역 담당관회의'를 주재하고 있다./연합뉴스
안덕근 산업통상자원부 통상교섭본부장이 4월 27일 서울 서초구 KOTRA 대회의실에서 열린 '수출지역 담당관회의'를 주재하고 있다./연합뉴스

[파이낸셜뉴스]산업통상자원부는 윤석열 대통령의 미국 국빈방문 후속 한미 첨단산업 공급망 협력강화 방안과 5월 인태경제프레임워크(IPEF) 제3차 협상 대응 등 무역통상 총력전에 만전을 기하겠다고 1일 밝혔다.산업부는 이날 안덕근 통상교섭본부장 주재로 제33차 통상추진위원회(통추위)를 개최했다. 이날 회의에선 △인태경제프레임워크(IPEF) 제3차 협상 추진계획 △한-에콰도르 SECA 제9차 공식 협상결과 및 향후 계획 △APEC 통상장관회의 준비현황 및 대응방향 △산업 에너지 분야 온실가스 국외감축 추진현황 및 과제 등 총 4건이 안건으로 올랐다.

안 본부장은 "지난주 대통령 국빈 방문을 계기로 한미 공급망 산업대화를 개최해 반도체법과 수출통제 이행 시 기업부담을 최소화하기로 하는 장관선언문을 발표했고 배터리, 바이오, 청정에너지 분야에서 기업 간 협력 업무협약(MOU)을 체결하는 등 미국과 첨단산업 협력을 강화했다"며 "새롭게 부각되는 통상 이슈에 대응하기 위한 국가 간 협력 강화가 어느때보다 긴요한 시점"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신통상 의제를 다루는 대표적 경제통상 협력체인 인태경제프레임워크(IPEF) 협상이 최근 속도감 있게 진행되고 있는 상황"이라며 "주도적으로 참여해 통상규범 형성 과정에 우리 입장을 적극 개진하고 빠르게 성과를 도출할 수 있도록 전 부처가 통상 역량을 집중하겠다"고 밝혔다.

통추위는 싱가포르에서 오는 8일부터 15일까지 개최되는 IPEF 제3차 공식협상에 앞서 무역, 공급망, 청정경제, 공정경제 등 4개 분야별 우리 입장과 구체적 대응방향을 점검했다. 산업부는 IPEF가 인태지역 경제협력의 구심점이자 공급망 안정화·다변화 및 청정에너지로의 전환 등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경제협력플랫폼으로 자리매김할 수 있도록 참여국 간 상호호혜적인 협력방안을 적극 모색해 나간다는 방침이다.

통추위는 지난달 초 열린 '한-에콰도르 전략적경제협력협정(SECA)' 제9차 공식협상 결과를 관계부처와 공유하며 향후 협상 추진방안도 논의했다.풍부한 자원 매장량을 바탕으로 인태 지역 주요 신흥시장으로 발돋움 중인 에콰도르와 자유무역협정 체결을 위해 우리나라는 2015년부터 협상을 진행하고 있다.

산업부는 한국과 에콰도르가 지난 9차 협상에서 관심 품목 시장개방에 대한 입장차를 상당히 좁히는 성과를 거뒀다고 밝혔다. 상호 간 교역·투자 활성화 및 에콰도르를 중남미 진출을 위한 '허브'로 만들어나갈 수 있도록 잔여 협상을 조속히 마무리한다는 계획이다.

통추위는 오는 25일부터 양일간 미국 디트로이트에서 열리는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통상장관회의 준비현황 및 계획도 점검했다. 올해 의장국인 미국은 공급망, 디지털, 탄소중립 등 새로운 통상 이슈와 관련된 '다자무역체제의 역할 강화', '지속가능·포용적 무역 증진'을 주요 의제로 제시했다.

산업부는 이번 APEC 회의에서 신통상 이슈와 관련된 우리나라의 정책과 WTO 개혁에 대한 그간의 노력을 소개하고 관련 국제공조의 방향성을 제시할 예정이다. 또한 21개 회원국이 참석하는 대규모 다자회의인 APEC 회의를 활용해 주요국과의 양자 협의도 진행할 방침이다.

이밖에 '산업·에너지 분야 온실가스 국외 감축 추진현황 및 과제' 안건을 두고 산업부는 유망사업 발굴과 시범사업 확대 등 추진 방침을 밝혔다. 협력 대상국과 양자 MOU 추진, 넷 제로 지원센터 구축 확대 등 국제협력 강화 계획도 관계부처와 공유했다.


안 본부장은 "최근 세계 경제성장의 주축인 인도 태평양 지역을 중심으로 공급망·첨단기술 경쟁, 디지털 그린 전환 등 새로운 통상 의제에 대응하기 위한 통상질서 형성이 가속화 되는 상황"이라며 이날 논의 안건에 대한 정부의 총력 대응을 다짐했다.

leeyb@fnnews.com 이유범 기자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