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 연준 0.25%p 금리인상에 한미 금리차 1.75%p로 확대..사상 최대 격차
원달러 환율은 오히려 하락..美 금리인상 중단 가능성에 영향
한은 5월 금통위 금리동결 가능성에 무게..원달러 환율은 점차 안정화 예상
[파이낸셜뉴스] 미국 연방준비제도(연준)가 기준금리를 0.25%포인트 인상하면서 이달 25일 금융통화위원회(금통위)를 앞둔 한국은행의 고심이 깊어지고 있다. 한미 기준금리 격차가 역대 최대인 1.75%포인트까지 벌어지면서 외국인 투자자 자금 유출 및 원·달러 환율 상승이 우려되기 때문이다.
하지만 시장에서는 이같은 불안 요소에도 한은이 금리 인상보다는 '동결'을 선택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최근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3%대까지 내려온 데다 자칫 기준금리를 인상할 경우 경기둔화와 금융 불안을 자극할 수 있기 때문이다. 전문가들은 인플레이션 우려 및 미국의 부채 한도 조정에 대한 불확실성 등으로 원달러 환율이 당분간 횡보세를 보이다가 3·4분기부터 안정을 찾을 것으로 내다봤다.
■사상 최대로 벌어진 한미 금리차..시장은 한은 '금리동결'에 무게
미 연준은 3일(현지시간)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정례회의에서 기준 금리를 현재보다 0.25%포인트 높은 5.00~5.25%로 만장일치 결정했다고 밝혔다. 지난해 3월 이후 10회 연속 금리 인상으로 지난 2007년 이후 16년 만에 최고 수준이다.
FOMC는 성명서에서 '추가 금리인상이 필요할 것으로 예상된다'는 문구를 삭제해 앞으로 금리인상이 중단될 수 있음을 시사했다.
미국의 정책금리 인상으로 우리나라의 기준금리(3.5%)와는 최대 1.75%포인트 격차가 나게 됐다. 이는 사상 최대다. 한국은행은 기준금리를 2회 연속 3.5% 수준에서 동결하며 사실상 금리인상 사이클의 종료를 시사한 바 있다.
한미 금리차가 확대되며 원·달러 환율은 상승 압력을 받을 것이란 우려도 나온다. 한미 금리 격차가 벌어지면 높은 수익률을 쫒는 외국인 자금의 이탈과 원화 약세 요인으로 작용하기 때문이다.
반면 금리 격차 확대에도 금통위에서 금리 인상 페달을 밟을 가능성은 높지 않다고 전문가들은 내다봤다. 가파른 금리 인상의 원인이 됐던 소비자물가가 3%대로 떨어진 데다 계속된 수출 부진에 따른 경기침체 우려도 커지고 있기 때문이다.
통계청이 지난 2일 발표한 소비자물가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소비자물가지수는 지난해 같은 달보다 3.7% 상승해 14개월 만에 3%대로 하락했다. 이는 한은의 물가상승률 목표치인 2%에 근접한 수치다.
황세운 자본시장연구원 연구위원은 "현재로서 한은이 인플레이션 통제보다는 금융시장 안정성과 부동산 경기의 급격한 위축에 따른 경착륙을 완화시킬 필요성을 더 높게 보고 있을 것"이라며 "한은이 금리동결로 기울게 될 가장 중요한 요소"라고 강조했다.
실리콘밸리은행(SVB) 파산 사태 이후 지속되고 있는 금융 불안도 한은의 금리 인상을 억제하는 요인이다.
최근 연일 연고점을 경신하던 원·달러 환율이 FOMC 이후 오히려 하락한 점도 한은의 추가 금리 인상 필요성을 낮추고 있다. 이날 서울 외환시장에서 달러 대비 원화 환율은 전일보다 15.4원 내린 1322.8원에 장을 마쳤다. 장 중에는 1320.6원까지 내렸다. 환율이 1320원대에서 마감한 것은 지난달 21일 이후 약 2주 만이다.
■전문가들 "원달러 환율 당분간 횡보하다 강세 전환할 것"
전문가들은 원달러 환율이 당분간 횡보세를 보이다 안정을 찾을 것으로 예상했다.
김승혁 NH선물 연구위원은 "미국의 인플레이션 상승률 추이와 부채 한도 협상 관련 노이즈로 올해 2·4분기에는 원·달러 환율이 횡보세를 보이다가 2·4분기 말에서 3·4분기로 넘어가는 시점에 기술적 하락세를 보일 수 있을 것"이라고 예상했다.
이상헌 하이투자증권 연구원은 "(FOMC의 성명서에 나온) 문구들을 봤을 때 달러 약세가 불가피해 원화 강세 기반으로 작용할 것"이라며 "4월 수출 지표 역시 ‘바닥’일 것이라는 조짐이 보여 원화가 강세를 보일 환경이 조성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정용택 IBK투자증권 수석연구위원 역시 "외국인 배당금 지급 관련 수급 여건이 개선되고 미국 금리 인상에 대한 압박이 거의 소멸되기 시작한다면 원·달러 환율은 점차 절상되는 방향으로 움직일 가능성이 높다"고 분석했다.
sjmary@fnnews.com 서혜진 김예지 기자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