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파이낸셜뉴스] 지난해 고물가로 인한 충격인 중산층인 소득 중위 60%에게 가장 큰 것으로 조사됐다. 가구주 연령별로는 60세 이상 가계의 부담이 컸다.
통계청이 2일 발표한 '2021년 및 2022년 가구특성별 소비자물가 작성 결과'에 따르면 균등화소득을 기준으로 분류했을 때 소득 중위 60%의 지난해 연간 물가 상승률은 5.2%로 분석됐다. 이는 전체 가구를 대상으로 조사한 물가 통계를 각 가구의 지출 비중 등에 따라 재조정한 결과다.
소득 중위 60%의 물가 부담(5.2%)은 지난해 연간 소비자물가 상승률보다 높은 수치다.
소득 하위 20%의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5.1%로 전체 가구와 같았다. 반면 소득 상위 20%는 5.0%로 산출돼 전체 가구보다 낮았다.
가구주 연령별로 구분하면 60세 이상이 가구주인 가계의 물가 상승률이 5.3%로 가장 높았다. 60세 이상 가구는 교통(10.6%), 음식·숙박(7.8%), 주택·수도·전기·연료(7.4%) 등이 크게 올랐다.
다음으로 40∼59세(5.1%), 39세 이하(4.9%) 순이었다. 39세 이하 가구는 교통(8.8%), 음식·숙박(7.6%), 식료품·비주류음료(6.8%) 등이 상승했다.
가구원 수로 보면 1인 가구의 상승률이 4.8%로 2인 이상(5.1%)보다 낮았다.
가구주가 근로자인 가구의 물가 부담이 자영업 또는 무직인 가구에 비해 물가 부담도 상대적으로 덜했다. 근로자 가구의 상승률은 5.0%로 근로자외 가구(5.2%)보다 낮았다.
imne@fnnews.com 홍예지 기자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