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 정보통신

반도체 중심 벗어나 SW-AI-OTT 육성...중동, 동남아 등 수출 다변화도

김준혁 기자

파이낸셜뉴스

입력 2023.06.05 17:05

수정 2023.06.05 17:05

정부, 디지털서비스·상품수출 동력 제고
SW, AI, 메타버스, OTT 등 세분화 지원
AI반도체, 5G통신·장비 HW도 지원사격
디지털 플랫폼정부도 수출 계획
중동·동남아·중남미 지역별 맞춤 지원
K-콘텐츠·관광 활성화 등도 지원 확대
박윤규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제2차관이 지난 2일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에서 디지털 분야 해외진출 및 수출 활성화 전략을 발표하고 있다. 뉴시스
박윤규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제2차관이 지난 2일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에서 디지털 분야 해외진출 및 수출 활성화 전략을 발표하고 있다. 뉴시스

[파이낸셜뉴스] 정부가 반도체 중심의 수출 구조에서 벗어나기 위해 소프트웨어(SW), 인공지능(AI), 온라인동영상서비스(OTT) 등을 집중 지원키로 했다. 또 미국, 중국 등에 편중된 수출 경로를 다양화하기 위해 중동, 동남아, 중남미 등을 중심으로 디지털 수출 판로를 개척키로 했다.

유망 수출품목별 글로벌 전망
품목 2022년 2026년 연평균성장률
SaaS 583조6648억원 1109조6820억원 11%
AI 서비스 156조4718억원 566조6712억원 32%
블록체인 13조9870억원 169조9360억원 140%
디지털콘텐츠 89조5432억원 344조7086억원 35%
(프리시던스리서치)
K-ICT 해외진출 지원사격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5일 이 같은 내용의 '디지털 분야 해외진출 및 수출 활성화 전략'을 발표했다. 지금까지 ICT 수출에서 50% 이상을 차지하는 반도체 중심에서 벗어나 다양한 ICT 수출 품목을 선제적으로 양성해 ICT 수출 동력을 끌어올리겠다는 것이 이번 전략의 골자다. 이를 위해 정부는 초거대 AI 플랫폼, K-콘텐츠, 메모리반도체 분야에서 성장 가능성이 높은 3개 분야를 지정했다. △소프트웨어(SW)·ICT 서비스 △ICT 장비·부품 △디지털전환(DX)·플랫폼 정부 등이다.


SW·ICT 분야에선 △SW 및 SaaS △AI 서비스 △온라인동영상서비스(OTT) △메타버스 △블록체인 등을 선정했다. 해외 진출을 위한 지원액을 확대하거나 글로벌 바우처를 공급하는 식으로 뒷받침한다. 정부는 5G를 비롯해 오픈랜(개방형 무선접속망), 클라우드 기반의 토종 AI반도체의 글로벌 경쟁력을 키우는 데도 집중할 계획이다. 오픈랜 등 차세대 통신 기술에 대해선 공동연구를 지원하고, 국제 인증시험소 구축을 통해 장비 수출 기반을 확대한다.

K-클라우드 프로젝트를 통해선 국산 AI반도체를 데이터센터에 적용하고 클라우드 기반 서비스를 실증할 수 있도록 지원, 'K-클라우드 얼라이언스'에 수출 지원 분과를 신설해 성장성이 높은 AI반도체 수출 레퍼런스도 조기에 확보할 예정이다. 아울러 디지털 분야 스타트업 해외진출 종합지원을 위한 독립기관, 정책금융(7000억원), 온오프라인 홍보 지원책 등도 마련했다.

정부 ‘디지털 분야 해외진출·수출 활성화‘ 내용 및 일정
항목·지역별 전략 지원 내용 추진 시기
유망품목 육성 SW·ICT 서비스 주요 품목 특화 지원 소프트웨어 글로벌 SW 및 SaaS 기업 육성 지원 강화 2023년부터
AI 서비스 글로벌 서비스 기획, 개발·실증 및 글로벌 바우처 지원
OTT 플랫폼·콘텐츠·디바이스 동반진출 및 판로개척 지원
메타버스 수출 역량 강화 및 해외 인프라 프로젝트 수주 지원
블록체인 협력 사업 추진 및 글로벌 사업화 지원
ICT 장비·부품 수출 경쟁력 강화 네트워크 장비·부품 국제 공동 연구, 표준인증 체계 구축, 다자협의체 참여, 판로개척 지원
AI반도체 실증사업을 통한 수출 레퍼런스 조기 확보
디지털전환·융합 서비스 해외진출 확산 디지털전환 성과 해외 진출
디지털플랫폼정부 우수성과 해외진출 지원 2024년부터
디지털 수출 영토 확대를 위한 신흥시장 개척 중동 외교협력 디지털 정책대화 등 고위급 양자회담 협정 체결 2023년부터
민관수출개척단 UAE에 디지털 수출 개척단 파견
거점 공공거점(중동IT지원센터) 및 민간주도 협력 거점 신설 추진 2024년부터
동남아 외교협력 한-아세안 정관회의 등 통해 협력 강화 2023년부터
아세한 협력기금 디지털 분야 공동 프로젝트, 디지털 스쿨 협력사업 추진 2024년부터
민관 수출개척단 베트남, 싱가포르, 인도네시아에 파견 2023년부터
의료 AI협력사업 데이터 확보, 해외병원 교차검증 등 협력
중남미 외교협력 한-중남미 ICT 장관 포럼, 과기·ICT 공동위 개최
국가별 차별화 전략 수출상담회(민간주도), ODA(정부주도)
민간 거점 아르헨티나, 콜롬비아 등 민간거점 신설
디지털 혁신기업 수출 경쟁력 강화 디지털 혁신기업 해외 진출 및 수출 전주기 지원 해외진출 전문기관 출범, 컨설팅·매칭 종합지원 강화
글로벌 액셀러레이터 연결을 통해 해외진출 지원
국내외 기업 간 파트너십 지원 강화
디지털 기업 수출 밀착지원 체계 구축
디지털 혁신기업 수출 기반 강화 신기술 제품 국내외 인증 및 레퍼런스 확보 지원
해외시장 수요 기반 규모확장 R&D 신설 2024년부터
디지털 혁신기업 수출 금융·보험 안전망 구축 2023년부터
온오프라인상 시공간 제약없는 홍보, 전시 지원 해외 진출 토종 메타버스를 글로벌 홍보·전시 공간으로 활용 2024년부터
온오프라인 국내외 전시 연계를 통한 해외 진출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미중 벗어나 수출경로 다각화

정부는 또 중동, 동남아, 중남미를 중심으로 지역별 디지털 수출 판로 개척에도 나선다. 중동은 아랍에미리트연합(UAE), 사우디아라비아를, 동남아에선 베트남, 싱가포르, 인도네시아를, 중남미에선 브라질, 멕시코, 콜롬비아, 파라과이, 페루, 아르헨티나, 콜롬비아 등을 공략한다.

정부는 지역별 수출 맞춤형 지원을 위해 각 지역별로 고위급 논의 채널을 복원·형성하거나 수출개척단을 파견할 계획이다. 이외에도 한-아세안 협력기금, 공적개발원조(ODA) 등 재원 기반의 협력 강화 카드도 준비했다. 이를 기반으로 네옴시티(사우디), UAE 국부펀드 투자(UAE) 등 수주 기회 확보를 지원하고, '한-아세안 디지털 스쿨협업 사업(동남아)'를 통해 인력 양성에도 나선다. 중남미는 전시회·수출상담회·민간거점 등을 활용해 공략한다.

과기정통부 박윤규 제2차관은 "이번 전략은 수출 구조 다양화에 초점을 맞췄다"며 "전 세계적으로 벌어지고 있는 디지털 전환이라는 큰 기회 요인을 우리 기업들이 새로운 품목, 새로운 시장을 개척해 나갈 수 있는 기회로 활용하고자 하는 것이 이번 전략의 중점 내용이다"고 설명했다. 목표 수치와 관련해선 "5월 말까지 진행된 수출 사항들도 어려운 상황이어서 좀 더 정밀한 작업을 거쳐 목표치를 만들어 나가야 하지 않을까 싶다"고 덧붙였다.

K-콘텐츠·관광에도 1.5조 지원

문화체육관광부도 콘텐츠 및 관광 분야 수출 활성화 추진 방안을 내놨다. 2027년까지 K-콘텐츠 수출 규모를 250억달러(32조6750억원)까지, 국내 외국인 관광객 수를 3000만명까지 늘리겠다는 목표다. 이를 위해 문체부는 전체 콘텐츠 수출액의 69.6%를 차지하는 게임산업을 집중 지원한다. 글로벌 진출을 희망하는 중소 제작사를 대상으로 '게임 더하기'(서비스 바우처) 기능을 강화하는 한편, 콘텐츠 수출지원 플랫폼인 ‘웰콘(WelCon)’을 고도화해 해외시장 개척을 지원한다.

아울러 글로벌 경제위기로 인한 민간 투자 위축에 대응해 1조원 규모의 정책금융(K-콘텐츠펀드, 완성보증 등)을 제공하고, 세계적인 IP 보유 콘텐츠 기업 육성을 위한 IP펀드, 수출기업 지원을 위한 수출특화펀드 등 5000억원 수준의 K-콘텐츠펀드 조성도 추진한다. 관광산업 활성화를 위해선 국내 쇼핑 인센티브를 확대하는 등 K-쇼핑 활성화에 매진한다는 복안이다.
사후 면세 가능 기준 완화 및 사후면세점 도심환급 1회 구매액 한도 상향(500만→600만원), 중국 모바일 페이(위챗, 유니온페이) 사용과 연계한 쇼핑 인센티브 제공, 외국인 카지노 옥외광고물 게시 전면 허용 등이 이를 위해 추진된다.

jhyuk@fnnews.com 김준혁 정순민 기자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