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 금융일반

한은 '금리 동결' 무게… 한·미 금리차 2.0%p 가나 [이달 금통위 향방 촉각]

김나경 기자

파이낸셜뉴스

입력 2023.07.02 18:26

수정 2023.07.02 18:26

금통위 13일 통화정책방향 결정
연준 7월·9월 연속 금리 올리고
근원물가 높을땐 한은 부담 가중
한은 '금리 동결' 무게… 한·미 금리차 2.0%p 가나 [이달 금통위 향방 촉각]
이달 한국과 미국의 정책금리 격차가 사상 최대인 2%p로 벌어질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온다.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가 오는 13일 통화정책방향 결정회의에서 금리를 동결(3.50%)하고, 미국 연방준비제도(연준)가 오는 25일(현지시간)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회의에서 기준금리를 0.25%p 인상(5.25~5.50%)할 경우 금리차는 상단 기준 2%p가 된다. 물가상승률이 둔화하는 반면 수출경기가 여전히 부진한 점 등을 고려할 때 시장에서는 기준금리 동결 가능성이 높다고 보고 있다. 다만 경직적인 근원물가 상승률과 연준의 추가 인상이 최대 변수로 남아 있다는 분석이다.

■7월 한은 '동결' 무게

2일 금융권에 따르면 한국은행 금통위가 오는 13일 통화정책방향 결정회의에서 기준금리를 네 차례 연속 동결하고, 연준이 오는 25일 추가 인상을 단행할 경우 한미 간 금리 역전 폭이 2%p로 벌어진다. 우리나라보다 미국 금리가 높으면 외국인의 투자자금 등이 금리가 더 높은 쪽으로 유출되고, 원·달러 환율 상승압력이 높아진다.

그럼에도 시장에서는 동결을 점치고 있다.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둔화하고, 수출경기가 부진한 상황에서 경기부양과 금융안정을 조금 더 고려할 수밖에 없다는 점에서다.
백윤민 교보증권 연구위원은 "근원물가 상승률이 여전히 높지만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계속 떨어지고 있고, 국내물가가 한은이 예상하는 경로 수준에 부합하는 모습"이라며 "수출을 비롯해서 경기가 좋은 상황이 아니라 경기적 측면에서도 인상요인이 크지 않다"고 말했다.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하락하는 추세다. 지난해 12월 5.0%에서 올해 1월 5.2%로 오른 뒤 △2월 4.8% △3월 4.2% △4월 3.7% △5월 3.3%로 하락하고 있다. 실제 금통위도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오른 1월을 제외하고는 2, 4, 5월 통화정책방향 결정회의에서 금리를 동결했다. 경기개선 기대감이 커졌지만 수출경기는 부진이 여전하다. 산업통상자원부에 따르면 6월 무역수지는 자동차 수출 호조 등으로 11억3000만달러 흑자를 내 16개월 만에 흑자전환했다. 반면 수출은 9개월 연속 감소했다. 이상헌 하이투자증권 연구원은 "6월 무역수지가 흑자로 돌아섰지만 아직 금리를 올리기엔 부담스러운 수준으로 동결 가능성이 크다"고 내다봤다.

■한은 추가 인상 가능성은

7월 동결하더라도 향후 인상할 가능성은 남아 있다. 근원물가 상승률이 여전히 높은 데다 한미 금리차 확대로 환율 변동성이 확대될 수 있어서다.

에너지와 식료품을 제외한 근원물가 상승률은 올해 상반기 4.0%로 지난해 하반기(4.1%) 대비 소폭 하락하는 데 그쳤다. 서비스물가 상승, 공공요금 인상 파급효과 등으로 근원물가 상승률이 더 오를 여지도 있다. 한은도 5월 경제전망에서 연간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당초 전망(3.5%)을 유지하되 근원물가 상승률은 3.0%에서 3.3%로 높여 잡았다.

연준이 시장 기대와 다르게 7월과 9월 연속으로 기준금리를 인상, 환율이 불안해질 경우 한은으로서도 부담이 된다.


이창용 한은 총재는 지난달 19일 "지난번 통화정책방향 결정회의에서 연준이 한 번도 정도는 확실히 올린다고 가정을 했고, 두 번(인상)에 대해선 새로운 뉴스"라며 "연준이 7·9·10월에 결정회의가 있으니까 그사이에 연속으로 올릴지 아니면 그 사이에 어떤 패턴을 보일지 봐야 할 것 같다"고 말했다.

백윤민 교보증권 연구위원은 "연준이 두 차례 인상하면 환율 부분을 고려하지 않을 수 없다"며 "미국 통화정책이 국내 시장에 미치는 영향, 환율에 미치는 영향이 통화정책의 결정 변수가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지난 5월 한은 금통위원 6명 전원이 최종금리 수준을 3.75%로 열어둔 만큼 미국이 두 차례 추가로 인상할 경우 한은도 환율 상황 등을 고려, 한 차례 추가 인상할 수 있다는 전망이다.

dearname@fnnews.com 김나경 기자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