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학저널 랜싯 학술지 '건강 장수' 최신호 발표
[파이낸셜뉴스] 잠에 들기까지 30분 이상 소요되는 사람은 그렇지 않은 사람보다 사망 위험이 최대 2배 이상 높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25일 고려대 의대 인간게놈연구소 신철 교수 연구팀은 경기도 안산에 거주하는 40~69세 3757명 대상으로 18년 동안 전향적 코호트 연구를 시행한 결과, 이 같은 연관성이 관찰됐다고 밝혔다.
일주일에 3번, 30분 내 잠 못들면 '습관적'
전향적 코호트 연구는 시간 경과에 따른 특정 집단의 질병이나 사망 양상을 보는 것을 말한다.
연구팀은 연구 참여자들이 잠들기까지 걸린 시간을 '수면 잠복기'로 정의했다.
16∼30분을 기준으로 지난 한 달 동안 30분 이내에 잠이 들지 못한 경우가 1~2번인 참여자들을 '간헐적 지연 그룹'에, 일주일에 한 번 이상 60분 이내에 잠들지 못하거나 일주일에 세 번 이상 30분 이내에 잠들지 못한 참여자들을 '습관적 지연 그룹'으로 나눠 사망 위험을 비교했다.
실험 결과 간헐적 지연 그룹과 습관적 지연 그룹의 사망 위험은 △인구통계학적 특성 △신체적 특성 △생활 습관 △만성질환 등 변수를 모두 보정했을 때 각각 1.33배(간헐적), 2.22배(습관적) 높은 것으로 집계됐다.
암으로 사망할 위험 2.74배 상승
특히 습관적 지연 그룹은 같은 비교 조건에서 암으로 사망할 위험을 비교했을 때 2.74배로 상승했다.
연구팀은 수면 잠복기가 길어지는 이유로 불면증, 우울증, 약물 복용 등 여러 원인이 있을 수 있다고 추정했다. 또 이로 인한 과각성 반응, 스트레스 반응의 만성화, 염증 반등 등이 사망 위험을 높이는 데 작용할 수 있다고 봤다.
연구팀은 수면 잠복기 연장이 뇌에서 분비되는 수면 리듬 조절 생체호르몬인 멜라토닌의 결핍을 불러 암 사망 위험을 높이는 데 잠재적인 요인이 됐을 수 있다고 분석했다.
이와 관련해 연구팀은 "국내 대규모 인구를 대상으로 한 전향적 연구를 통해 수면 잠복기와 사망률 사이의 유의미한 연관성을 처음으로 확인한 데 의미가 있다"라며 "성인의 경우 통상 10~20분인 수면 잠복기가 습관적으로 늦어지면 수면 주기를 충분히 완료하지 못함으로써 만성적인 수면 장애는 물론 사망과 암 위험도 높일 수 있는 만큼 이를 예방하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라고 전했다.
한편 해당 연구는 의학저널 랜싯이 발행하는 학술지 '건강 장수'(Lancet Healthy Longevity) 최신호에 발표됐다.
helpfire@fnnews.com 임우섭 기자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