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국제일반

日상장사 평균 급여 6608만원, 한국은? [김경민의 도쿄 혼네]

김경민 기자

파이낸셜뉴스

입력 2023.07.26 06:36

수정 2023.07.26 06:36

日상장사 직원 평균 연봉 732만엔, 10년래 최대 증가
韓 평균 임금은 2021년 기준 8016만원, 10년간 43.3% 증가
韓 상승 속도는 G5보다 높은 수준, 엔저로 한일간 격차 더 늘어
내년 韓 최저임금 9860원, 도쿄도 넘어서
일본 도쿄의 긴자 풍경. 연합뉴스
일본 도쿄의 긴자 풍경. 연합뉴스

【도쿄=김경민 특파원】 지난해 일본 상장사들이 최근 10년 사이 최대 임금 인상폭을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견조한 기업실적과 일손 부족, 정부의 임금인상 요청 등이 맞물린 결과로 풀이된다. 다만 한국과 비교하면 일본의 연간 급여 수준은 1400만원가량 적은 것으로 분석된다. 지난 수십년간 한국은 경제발전을 토대로 빠른 속도로 임금을 높인 반면, '잃어버린 30년'이라 불릴 만큼 장기 침체기였던 일본은 인상 여력이 크지 않았기 때문이다. 급기야 내년에는 한국의 최저임금이 도쿄마저 앞지르게 됐다. 최근 엔저(엔화가치 하락) 현상도 양국의 임금 격차를 더욱 벌리고 있다.


주는대로 받던 日샐러리맨, "월급 더 주네"

26일 니혼게이자이신문(닛케이)에 따르면 2023년 회계연도(2022년 4월~2023년 3월) 일본 상장사 직원의 평균 급여는 전년 대비 3% 증가한 732만엔(약 6608만원)으로 10년 만에 최대 증가율을 기록했다.

지난해 임금을 가장 많이 올린 기업은 일본제철로 평균 급여는 전 분기보다 54% 증가한 824만엔(성과금 포함)이었다. 같은 기간 이 회사는 관리직까지 포함해 산출하도록 제도를 변경했기 때문에 인상 폭이 크게 상승한 면은 있지만, 관리직을 제외해도 인상 폭은 30%에 달했다.

일본 기업의 급여 증가 배경은 호실적이 첫째로 꼽힌다. 철강 분야의 사업 이익은 전년 대비 14배나 급증해 실적 연동 성과금이 크게 올랐다.

컨테이너선 운임의 고공행진으로 대형 3사가 나란히 최고이익을 경신한 해운 업체들도 상위권에 들었다. 2위는 41% 증가한 상선 미쓰이로 평균 급여를 1517만엔으로 인상했고, 3위 가와사키기선과 10위 일본우선의 평균 급여도 각각 1000만엔을 넘어섰다.

기시다 후미오 일본 총리. 연합뉴스
기시다 후미오 일본 총리. 연합뉴스
호실적·일손 부족·정부 요청 3박자

극심한 인력 부족도 급여 인상을 부추기고 있다. 최근 일본은행이 발표한 단기경제관측조사(단칸)에 따르면 비제조업의 고용 인원 판단지수(DI)는 마이너스(-)44를 전망했다. DI는 '좋다'고 답한 기업 비율에서 '나쁘다'고 답한 기업 비율을 뺀 값이다. 기업들은 인력 부족을 메우기 위해 처우 개선을 추진 중인데 임금 인상이 가장 대표적인 사례다.

닛케이가 일본 주요 기업 144곳의 사장을 대상으로 설문한 결과 인력 부족을 겪고 있다는 답변은 85.6%로 나타났다. 이들에게 앞으로 어떤 임금 인상 방안을 쓸 것인지 복수 응답으로 물었더니 '초임 인상'이 53.5%, '기존 직원 급여 인상'이 45.1%였다. 2024년 봄 임금 개정에 대해 40% 이상인 59개사가 이미 인상 의향을 굳혔다고 응답했다.

올해 임금 인상도 높은 수준이 기대된다. 기본급을 올리는 베이스업을 단행하는 기업이 잇따르면서 올해 봄 임금인상률은 3.58%에 이르렀다. 일본 상장사의 올해 순이익도 3년 연속 최대가 전망되고 있다.

닛세이기초연구소의 이데 신고는 "인건비를 비용으로 파악하지 않는 경영자가 증가하고 있어 임금은 지속적으로 오를 것"이라고 내다봤다.

일본에서 물가가 치솟고 정부가 기업에 적극적인 임금 인상을 주문하고 있는 것 역시 급여 상승을 부채질하는 요인이다. 기시다 후미오 일본 총리는 임금 상승률이 물가 상승률에 미치지 못하면 스태그플레이션(경기침체 속 물가 상승)에 빠질 수 있다고 경고하면서 기업 경영진에 최소 3%의 임금 인상을 요청하고 있다.

日상장사 평균 급여 6608만원, 한국은? [김경민의 도쿄 혼네]

日상장사 평균 급여 6608만원, 한국은? [김경민의 도쿄 혼네]

日침체기에 韓 10년새 급여 43%↑
그렇다면 한국의 평균 임금은 얼마나 될까.

전국경제인연합회가 지난해 7월 발표한 상장사의 인건비 및 실적 추이에 따르면 2021년 직원 1인당 평균 연간 총급여는 8016만원이었다. 조사 시점이 약 1년 시차가 있지만 현재 환율로 단순 계산해보면 한국이 일본보다 약 1408만원 많은 수준이다. 최근에는 엔저 현상으로 인해 양국의 실질 임금 격차는 더 늘어나고 있다.

일본이 1990년대 초 버블경제 붕괴 후 극심한 디스플레이션과 임금 인상이 제한된 '잃어버린 30년'을 겪는 동안, 한국은 1인당 급여가 2011년 5593만원에서 2021년 8016만원으로 10년간 43.3% 뛰었다.

한국의 총급여 상승 속도는 미국·일본·독일·영국·프랑스 등 주요 5개국(G5)보다 높은 수준이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통계를 보면 지난 10년간(2009∼2019년) 한국의 제조업 근로자 1인당 총급여는 37.6% 증가했다. 이는 같은 기간 G5의 평균 총급여 증가율(23.6%)의 1.6배 수준이다. 일본은 G5 중 가장 낮은 13.2%에 그쳤다.

일본 도쿄의 도쿄타워 / 호텔스닷컴 제공
일본 도쿄의 도쿄타워 / 호텔스닷컴 제공
최저임금도 도쿄 넘어섰다

우리나라 최저임금위원회는 지난 19일 2024년 최저임금을 2.5% 오른 시간당 9860원으로 결정했다. 일본에서 가장 높은 도쿄의 최저 임금(1072엔·약 9678원)을 추월했다. 일본이 2023년 임금을 5%나 올렸지만 그 절반밖에 올리지 않은 한국의 최저임금이 일본을 앞선 것이다.

일본은 지역마다 최저임금이 다르다. 도쿄와 가나가와현 정도가 1000엔 이상을 받고 오키나와, 나가사키 등은 853엔으로 낮은 수준의 최저임금을 받고 있다. 전국 (가중) 평균 최저임금은 961엔이다.

일본은 아베 신조 전 총리 때인 2015년부터 전국 평균 최저임금을 1000엔 이상으로 올리기 위해 애썼고, 이는 기시다 총리까지 이어지고 있다.

일본에는 '혼네'(本音)와 '다테마에'(建前) 문화가 있습니다.
혼네는 진짜 속마음이고, 다테마에는 밖으로 보여주는 겉마음입니다. 개인보다는 조직·사회적 관계를 중시하는 일본인들은 좀처럼 혼네를 드러내지 않습니다.
어쩌면 우리가 보는 일본은 다테마에의 파편에 불과할지도 모릅니다.

km@fnnews.com 김경민 기자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