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일반경제

데이터로 여는 미래 농업… ‘디지털 전환’이 신성장동력 [차세대 농식품 '빅데이터 경제'가 뜬다<4.끝>]

파이낸셜뉴스

입력 2023.08.01 18:15

수정 2023.08.01 18:15

AI가 최적의 작물 생육 데이터 제안
노지 정보수집하는 자율주행 장치도
150억개 넘는 데이터 연계·활용
데이터 기반 농업 생태계 조성 박차
바이오앱의 그린백신 생산용 담뱃잎 재배실 포스코인터내셔널 제공
바이오앱의 그린백신 생산용 담뱃잎 재배실 포스코인터내셔널 제공
"최근 세계 경제는 혁신성장의 핵심요소인 데이터를 활용해 산업의 발전과 새로운 부가가치를 창출하는 '데이터 경제(Data Economy)'로 전환하고 있으며, 이러한 디지털 전환은 오늘날 농업의 주요한 신성장동력입니다."

권재한 농림축산식품부 농업혁신정책실장은 농업의 디지털 전환과 관련해 우리 농업이 데이터 기반의 농식품 정책 지원을 통해 디지털 플랫폼 정부 구현에 가까워지고 있다고 말했다. 농식품부는 지난해 8월 '농림축산식품부 데이터관리 규정'을 마련하고 스마트팜, 농업경영체, 농식품 보조사업 등의 방대한 발생 데이터가 서로 연계·활용되는 농업 생태계 마련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첨단기술 접목한 농촌…데이터 기반 농업 확산 중

1일 농식품부에 따르면 '데이터기반 스마트농업 확산 지원사업'에 참여한 농가는 올해 1029개에 이른다. 시설원예, 노지, 축산 등 각 분야의 참여 농가는 고품질 스마트팜 데이터 수집·분석에 기여하고 있다. 농업 현장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기업과 50호 내외의 농가가 컨소시엄을 맺고 협력하고 있으며 올해 총 28개 컨소시엄이 스마트팜, ICT 솔루션 및 AI 개발, 데이터 분석 등 관련 기술을 보급·적용 중이다.

작물의 생육 데이터를 통해 AI가 최적의 의사결정을 제안하는 기술부터 노지를 자유롭게 누비며 농업정보를 수집하는 자율주행 장치 등 디지털 기술을 통해 청년농의 적응과 고령화된 농가의 일손을 돕고 있다.

고령층 비중이 높은 농촌이지만 데이터 활용은 더 이상 낯선 일이 아니다.
이미 농가 스마트폰에 자리잡은 '농업ON' 모바일 서비스는 농촌에서 '영농비서'로 불릴 만큼 농업인들의 데이터 기반 의사결정을 돕고 있다. 전국 35개 도매시장의 실시간 가격과 병충해 발생 현황, 최신 농업정책은 물론 농가의 영농일지부터 입출금, 재무제표 현황까지 농업경영상태를 관리하고 한눈에 확인할 수 있는 농가경영장부 서비스를 제공한다.

농촌의 지혜와 데이터를 한데 모으고, 나아가 이를 교류할 수 있는 디지털 공동체 수립까지 이어지는 스마트농업은 미래가 아닌 현실에 더 가까워진 모습이다.

■데이터 순환…행정부터 유통·거래 망라

2021년 구축한 농정빅데이터 플랫폼은 23개 기관에 분산 저장되어 있던 83종, 150억개 넘는 데이터를 연계해 공익직불금 수혜 농업인 확인, 잔류농약 검사필지의 농산물 안전성, 축산물 무항생제 인증 등으로 검증 범위를 확대하고 있다. 농지, 축종, 품목, 종자 등 영농이력 정보를 한눈에 볼 수 있는 통합분석 정보시스템을 통해 보조금 지급의 공정성을 가려낸다. 농지의 경우 지리정보시스템(GIS)을 활용해 필지 단위까지 세밀한 데이터 확인이 가능하다. 유관기관의 데이터 수집 과정에서도 '농업인 마이데이터(My Data)'를 통해 직접 행정기관을 방문하지 않아도 농업경영체 등록 확인, 토지대장, 주민등록등본 등 서류 제출이 가능하다.

이렇게 공공과 민간에서 쌓아올린 공개 가능한 데이터는 '데이터댐'으로 불리는 농식품 빅데이터 거래소(KADX)에 모인다. 2021년 2월 개소한 KADX에서 거래되는 농식품 생산·유통·소비·수출입 분야의 민간과 공공 데이터의 종류도 451종에 달하며 거래액은 개통 이후 23억원에 이른다. 이는 농가의 재배 관련 데이터뿐 아니라 다양한 농축산물을 활용한 레시피, 급식정보 등 농식품 전반으로 데이터 활용이 확산된 덕분이다.

농식품부는 가치 있는 데이터의 발굴·개방을 통해 농가나 일반 국민이 데이터 기반의 비즈니스모델을 만들고 수익을 창출하는 데까지 지속적으로 지원해 나갈 계획이다.


4차 산업혁명은 이미 현실화된 전 세계적 흐름이다. 농식품부의 스마트농업 전환 역시 새로운 변화에 적응하려는 노력의 일환이다.
농식품부는 데이터 기반의 농업 생산시스템 구현을 위해 지속적인 지원으로 고령화와 인구감소의 위기를 극복하고, 농촌의 경쟁력을 강화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chlee1@fnnews.com 이창훈 기자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