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SMC, 대만서 엔지니어 급파하러 하자...美노조 "일자리 뺏지마" 반대
14일 외신과 반도체업계에 따르면 TSMC는 현지 숙련 인력 확보 실패로 애리조나 파운드리 공장 건설이 연기되면서 대만 인력을 파견했다는 '고육책' 조차도 미국의 건설 노조와 정치권의 반대에 부딪히면서 진퇴양난에 빠졌다. 앞서 애리조나주 공장 건설에 차질이 생긴 TSMC는 임직원 500명을 애리조나로 급파하기 위해 미국 측과 비자 등의 문제를 협력할 예정이었다.
애리조나에서 가장 큰 노동조합 중 하나인 애리조나 건설무역협회의 애론 버틀러 회장은 지역 언론 기고글을 통해 "TSMC가 건설 지연을 미국 노동자를 비난하고, 더 적은 임금을 받을 수 있는 외국인 노동자를 데려오기 위한 핑계 수단으로 사용하고 있다"고 반발했다.
버틀러 회장은 "매일 수천명의 회원이 TSMC에서 일하기 위해 할당된 대로 숙련된 작업을 수행하고 있다"며 "공장 완공 지연과 외국인 근로자 채용 결정에 대해 왜곡하지 말라"고 TSMC를 비판했다.
앞서 리우더인 TSMC 회장은 지난달 2·4분기 실적발표에서 "반도체급 시설에 장비를 설치하는 데 필요한 전문 지식을 갖춘 숙련된 인력이 부족해 특정 문제에 직면해 있다"고 밝힌 데 대한 반박으로 해석된다.
미국 정치권도 움직였다. 미국 민주당의 로 칸나 캘리포니아주 하원의원은 자신의 SNS를 통해 "TSMC가 인력을 대만의 비노조원으로 대체하고 있다는 사실에 깊은 우려를 표한다"고 밝혔다. 이어 "의회는 (TSMC가) 통상적인 임금을 지급하고 노조 근로자를 공정하게 대우하는 것을 조건으로 보조금을 지급할 것을 기대한다"며 회사 측을 압박하고 나섰다.
TSMC 측은 성명서를 통해 "우리는 현지 직원을 외국인 직원으로 교체하지 않으며 애리조나에서 현지 직원을 고용하는 것을 계속 우선시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어 "파견 인력의 수는 결정되지 않았고, 특정 프로젝트를 위해 제한된 기간 동안만 머물 것"이며 "현장에 있는 1만2000명의 근로자나 미국에 기반을 둔 고용에 영향을 미치지 않을 것"이라고 해명했다.
"지멘스 악몽 떠오른다"...獨공장 건설에 대만인들이 보인 반응, 왜?
TSMC가 지난 8일 독일에 5조원을 투자해 유럽 첫번째 반도체 공장을 건설한다고 밝히자 일부 대만 누리꾼들은 "지멘스의 악몽이 떠오른다"며 우려의 목소리를 냈다.
이날 TSMC는 독일에 조인트벤처(JV) 반도체 공장을 건설하는데 최대 34억9900만유로(약 5조 497억원)를 투자하는 안건을 이사회에서 승인했다고 밝혔다. TSMC와 독일 자동차 부품업체 보쉬, 반도체 기업 인피니온, 네덜란드의 NXP 등이 함께 조인트벤처 형식으로 독일 동부 작센주의 드레스덴에 짓는 이 공장은 TSMC가 지분 70%를 가져가고 나머지 회사가 각각 10%를 소유하기로 했다. 공장 건설에는 독일 정부의 지원금을 포함해 총 100억유로(14조4200억원)의 투자금이 투입되며 운영은 TSMC가 전적으로 맡을 예정이다. TSMC의 독일 공장은 월 4만장의 12인치(300㎜) 웨이퍼를 생산하는 규모를 갖추게 되며 2027년 가동에 돌입할 계획이다.
해당 소식이 전해지자 대만 누리꾼들은 "독일 노조가 미국보다 강경해 TSMC가 앞으로 힘들어질 것"이라며 우려의 목소리를 냈다.
앞서 2005년 대만의 IT기업인 벤큐는 독일 지멘스 휴대전화 부문을 인수했으나, 동·서양 문화 차이로 인해 대만·독일 연구개발팀이 대립각을 세운 바 있다. 이로 인해 벤큐는 350억대만달러(약 1조4630억원)의 손해를 입었다.
무노조 고집 TSMC 바뀔까?
모리스 창 TSMC 창업자는 글로벌 기업인 가운데 대표적인 '노조 회의론자'로 그는 2016년 구글, 마이크로소프트 등의 성공을 두고 "그들의 성공은 노조가 없었기 때문에 회사의 성공을 위해 모두가 함께 일을 했기 때문"이라고 공개적으로 밝힌 바 있다. 현재 구글(2021년)과 마이크로소프트(2023년)는 노조가 생겼지만 TSMC는 현재까지 무노조 경영을 고수 중이다.
모리스 창 창업자는 "노조가 얻고 싶어하는 '복지'는 조금이라도 더 높은 연봉과 조금이라도 줄이려는 근무시간으로 결국엔 근시안적인 행동"이라고 말해 논란이 인 바 있다.
rejune1112@fnnews.com 김준석 기자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