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권 펀드·채권·IB

“불안불안한데”···글로벌하이일드서 ‘발 빼기’

김태일 기자

파이낸셜뉴스

입력 2023.08.15 14:04

수정 2023.08.15 14:04

3개월 새 214억원 이탈
美 국가 신용등급 내려
중소형 은행 10곳도 강등
미국 실리콘밸리은행(SVB) 앞에 줄 선 고객들 / 사진=AP연합뉴스
미국 실리콘밸리은행(SVB) 앞에 줄 선 고객들 / 사진=AP연합뉴스
[파이낸셜뉴스] 국내 투자자들이 글로벌 투기등급 채권(하이일드) 펀드에서 손을 떼고 있다. 미국의 국가신용등급이 강등된 데다 지난 3월 실리콘밸리은행(SVB) 등의 금융 리스크가 발생한 후 파산기업이 대폭 늘어난 영향으로 풀이된다.

15일 펀드평가사 에프앤가이드에 따르면 국내에 설정된 38개 글로벌하이일드 펀드에선 최근 3개월 새 214억원(13일 기준)이 이탈했다.

‘AB글로벌고수익’(-85억원)에서 가장 많이 빠졌고, 'AB월지급글로벌고수익'(-34억원), 'AB숏듀레이션하이일드'(-15억원), '한화단기하이일드'(-13억원) 등에서도 유출이 나타났다.

SVB 파산 사태를 기점으로 미국의 저등급 기업들을 중심으로 기초체력(펀더멘털)에 균열이 가고 있기 때문으로 해석된다.

NH투자증권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 미국 기업(자산·부채 200만달러 이상 사기업 혹은 1000만달러 이상 공기업 기준)의 파산신청은 모두 340건으로 집계됐다. 2010년 이후 13년 만에 최고 수준이다.

또 JP모간이 최근 내놓은 신용조사 보고서엔 지난 12개월 동안 미국 하이일드 채권 회수율이 19.6%를 기록했다는 내용이 담겼다.
지난 25년 간의 평균(40.2%)과 비교해 절반에도 미치지 못하는 수치다. 하이일드는 저신용 등급의 기업이 발행한 고위험·고수익 채권을 의미한다.

이달 초 국제신용평가사 피치가 미국 신용등급을 기존 ‘AAA’에서 ‘AA+’로 낮춘데 이어 8일엔 무디스가 미국 중소형 은행 10곳의 신용등급을 일괄적으로 한 단계씩 떨어뜨렸다.

미국 연방준비제도(Fed)가 지난해부터 공격적으로 기준금리를 올리면서 이들 은행이 보유한 채권가격이 고꾸라지면서 자산가치가 하락한 탓이다. 상업용 부동산(CRE) 리스크, 자기자본 취약 등도 배경으로 꼽힌다.

문제는 이로 인해 은행 대출에 규제가 가해질 경우 중소기업들의 자금조달에 비상이 걸릴 수 있다는 점이다. 자연히 앞서 발행된 하이일드의 채무불이행(디폴트) 위험도 역시 올라갈 수밖에 없다.

금융투자업계 관계자는 “금리인상이 마무리 단계에 접어들긴 했지만 금리 수준 자체가 높고, 시중은행발 신용 긴축이 지속되면 부도 위험을 감수해가면서까지 하이일드를 담은 펀드에 투자할 동기가 사라지게 된다”고 설명했다.

하이일드가 일반적으로 투자등급 채권 대비 수익률이 높은 만큼 경기 침체가 우려하는 수준보다 낮을 경우 투자 수요가 회복될 가능성도 있다.


실제 경기 침체 신호로 해석되는 미국 국채 스프레드(10년물-2년물 금리차)는 약 73bp(1bp=0.01%p)로, 100bp를 넘어섰던 3월에 비해서는 잠잠해진 상황이다.

taeil0808@fnnews.com 김태일 기자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