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대 청년실업률에 생산·판매 최저
중국판 리먼사태 우려도 더욱 확산
코로나 봉쇄정책에 정책 불확실성
美등 주변국과의 마찰도 위기 불러
중국판 리먼사태 우려도 더욱 확산
코로나 봉쇄정책에 정책 불확실성
美등 주변국과의 마찰도 위기 불러
그토록 완벽한 방역체계라고 자랑하던 3년간의 제로코로나를 폐기하고 리오프닝(경제활동 재개)을 선언했어도 약발은 먹히지 않고 있다. 오히려 디플레이션에 디폴트까지 경제에서 부정적 단어는 모두 나오고 있다.
문제는 단순하지 않다. 이른바 회색 코뿔소(충분히 예상할 수 있지만 간과하기 쉬운 위험요인)와 검은 백조(예측하기 어려운 돌발위험)가 동시에 등장한 형국이다.
■각종 지표서 드러난 中 현실
중국 경제의 현실은 각종 경제지표에서 여실히 드러난다. 내놓는 수치마다 최저 혹은 최고치를 경신하고 있다.
중국은 최대 고민인 청년실업률이 6월 21.3%로 또 역대 최대치를 경신하자 7월 수치에 대한 공개를 아예 중단했다. 도시 실업률이 5.2%에서 5.3%p로 0.1%p 상승한 데다 대학졸업자 1000만명의 수치가 데이터에 적용되기 전 중국 특유의 선택을 한 것으로 풀이된다.
7월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0.3%로 2년5개월 만에 마이너스로 전환했다. 생산자물가는 10개월 연속 마이너스를 지속했다. 외신은 "디플레이션에 '진입'했다"고 평가했다.
대표적 내수지표인 소매판매와 산업생산·고정자산 투자는 전월과 전망치를 밑돌았다. 이 중 소매판매는 소비지출을 가늠하는 척도다. 중국은 14억 인구의 내수시장을 자랑으로 삼았으며 타국을 압박하는 수단으로도 사용해 왔다. 중국에서 소비의 국내총생산(GDP) 기여율은 77.2%(올 상반기 기준)에 달할 정도로 핵심이다. 수출은 -14.5%로 3년5개월 만에 최저로 내려갔고, 외국인직접투자(FDI·7월 누적)는 -4%였다.
합계출산율(한 여성이 평생 낳을 것으로 기대되는 평균 출생아 수)은 역대 최저 수준인 1.09명으로 떨어질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 상태다. 출생인구가 줄어들면 고령화는 가속되지만 생산가능인구(15~64세)는 부족해진다. 경제의 대표적 장기적 악재다.
상황이 더욱 심각한 것은 헝다그룹(에버그란데) 이후 비구이위안(컨트리가든) 디폴트를 시작으로 원양집단(시노오션), 완다 등 부동산 리스크가 줄줄이 재차 불거졌다는 점이다. 파장이 금융권과 리츠(부동산투자신탁)로 번지면서 일각에선 '중국판 리먼브러더스' 사태를 우려하기도 한다.
■예고된 경제 '붕괴'
중국 경제의 붕괴는 사실상 예고됐다고 봐야 한다.
중국은 코로나19 때 바이러스 확산을 막겠다며 인구 2500만 상하이의 경제를 65일 동안 멈추게 만들었다. 이로 인해 2022년 2·4분기 중국의 경제성장률은 0.4%까지 내려갔다.
무차별 봉쇄는 중국 경제정책에 대한 불확실성을 증가시켰다. 외부 압력에 언제든 공장 가동을 멈출 수 있다는 고민은 추가 생산시설 확대를 주저하게 만들었다. 이에 외국 기업들은 투자를 늘리지 않았다. 이즈음 '탈중국' 혹은 '중국 엑소더스'라는 단어도 글로벌 투자기관과 외신에 자주 등장했다.
시진핑 국가주석의 권력집중 현상이 강화되면서 통제와 규제가 한층 심각해진 측면도 있다.
중국 당국은 '집은 사는 곳이지 투기하는 곳이 아니다'라는 시 주석의 기조 아래 부동산업체에 대한 무차별 규제를 가했다. 은행으로부터 돈 빌리기가 어려워진 부동산개발업체들이 무더기로 파산을 선언했고, 소비자는 주택과 같은 대형투자 분야를 외면했다.
강한 중국을 꿈꾸면서 미국 등 주변국과 마찰이 증가한 것도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된다.
jjw@fnnews.com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