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러나 내용을 잘 살펴보면 정부가 새마을금고를 개혁할 의지가 있는지 의구심을 떨칠 수 없다. 새마을금고 사태라는 급한 불을 끄는 데 급급한 모습만 보인다. 부실채권 정리와 대출 시 내부통제를 강화하는 건 단기 봉합책에 불과하다. 이런 수준으로 새마을금고의 근본적인 문제가 해결될 수 있을지 의문이다.
가령, 새마을금고 감독기관인 행정안전부가 연 2회 새마을금고 영업실적을 밝히겠다는 방안을 내놨다. 이미 시행됐어야 하는 방안을 새로운 혁신안인 양 내놓은 것이다. 신협 등 다른 상호금융권은 금융감독원이 연 2회 경영공시를 하고 있다.
더구나 새마을금고의 감독권 이관 문제는 아예 쏙 빠졌다. 행정안전부에서 금융감독원으로 감독권을 넘겨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은데도 묵살된 형국이다. 오히려 행안부와 새마을금고 경영혁신위원회가 공동으로 거버넌스 개편을 포함한 혁신방안을 마련한다는 입장을 고수했다. 기획재정부와 금융위원회 등 관계기관은 긴밀한 공조 위치에 머물 뿐이다.
이미 새마을금고는 복잡한 관리감독 체계와 허술한 내부통제 시스템 탓에 신뢰를 잃었다. 새마을금고를 포함해 농협, 축협, 신협, 수협 등 상호금융권에서 최근 5년간 발생한 금전 사고액은 500억원대에 이른다. 이 가운데 새마을금고에서 터진 사고액수만 255억원대에 달한다고 한다. 상호금융권 전체 금전 사고액의 절반에 이르는 수치다.
새마을금고는 우리나라 지역 서민금융을 주도한 상징적인 금융기관이다. 임시방편 수준으로 새마을금고가 국민으로부터 잃어버린 신뢰를 되찾을 수 없다. 과거의 영광을 되살리려면 뼈를 깎는 심정으로 관리감독 체제부터 개편해야 할 것이다.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