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 금융일반

美국채금리 상승에 대출금리 오르나..한은 "韓 변동금리 비중 높아 영향 제한적"

파이낸셜뉴스

입력 2023.09.11 21:12

수정 2023.09.11 21:12

韓·美 금리, 장기물일수록 동조화 경향 강해
美 국채금리 상승에 '고정형' 대출금리 영향
韓 가계·기업대출서 '변동형' 비중 높아
한은 "우려할 만큼 큰 영향 나타나지 않을 것"
美국채금리 상승에 대출금리 오르나..한은 "韓 변동금리 비중 높아 영향 제한적"
[파이낸셜뉴스]미국 국채금리 상승으로 은행 고정형 대출금리가 오를 수 있지만, 변동형(혼합형) 비중이 높은 우리 대출시장 구조상 전체 대출금리에 미치는 영향은 크지 않을 것이라는 분석이 나왔다. 다만 5년물 이상 장기금리는 미국 국채금리와 동조화되는 경향이 강한 데다, 최근 고정형 주택담보대출(주담대) 신규 취급이 늘어나 면밀히 점검할 필요가 있다는 제언이다.

11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한·미 금리 동조화 현황 및 평가' 이슈노트(금융시장국 채권시장팀 최강욱 차장 외 2인)에 따르면 올해 들어서 한·미 금리 동조성이 만기별로 차별화되고 있다. 단기물 금리 동조성은 낮아진 반면 장기물의 경우 여전히 높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일부 대출금리, 은행채 및 회사채 금리 등이 미국 국채금리 상승에 영향을 받을 수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대표적으로 고정형 주담대 금리가 그렇다. 지난 8월 25일 기준 4대 시중은행(KB국민·신한·하나·우리)의 고정(혼합)형 주택담보대출 금리는 연 3.90~6.30%로 나타났다. 지난 7월 14일 고정형 금리가 연 4.06~6.00%였던 것과 비교하면 상단이 0.30%p 오른 것이다. 고정형 대출금리의 준거금리는 금융채 5년물(AAA) 금리다. 지난달 미국 10년물 국채금리가 급등하자 한국 장기물 금리도 상승했고, 금융채 5년물 금리는 지난달말 4.39% 수준으로 올랐다.

한은이 미국 금리의 한국 금리에 대한 영향력을 자체 추정한 결과 올해 5년물 금리에 대한 미국 금리의 영향력은 51%, 10년물에 대한 영향력은 56%에 달했다. 지난해 각각 55%, 59%보다는 약해졌지만 여전히 금리 등락에 영향이 큰 것이다. 올해 기준 1년물, 3년물 금리에 대한 영향은 각각 14%, 39%에 그친다. 전년 대비(각각 19%, 44%)로도 영향력이 약해진 것으로 추정됐다.

1년 이하 단기금리에 연동되는 변동형 비중이 높은 우리나라 대출시장 특성상 미국 국채금리 급등에 따른 영향은 크지 않다는 게 한은 판단이다. 지난 7월말 기준 잔액기준 가계대출에서 변동형금리 비중은 71.4%, 기업대출은 64.2%였다. 박성진 금융시장국 채권시장팀장은 "1년 이하 단기금리에 연동되는 변동금리 대출 등은 미 국채금리 상승에 따른 영향이 우려할 만큼 크게 나타지 않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하지만 전체 가계대출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큰 주담대는 변동형 비중이 상대적으로 낮다. 7월말 기준 잔액기준 주담대의 59.6%가 변동형, 신규취급액 기준으로는 44.3%였다.
7월말 기준 은행 주택담보대출은 820조8000억원으로 전체 대출(1068조1000억원)의 76.85%에 달한다.

최강욱 차장은 "주담대 금리의 경우 최근 정책모기지 공급 확대 등으로 고정금리 대출 비중이 확대되고 있다는 점에서 향후 미 국채금리 변동의 영향을 받을 것으로 보인다"라며 "최근 확대되고 있는 가계대출 증가세에도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예상했다.
최 차장은 "미국 국채금리 변동성이 확대되고 국내 금리에 미치는 영향도 높아질 수 있는 만큼 그 움직임과 영향을 면밀히 점검할 필요가 있다"고 제언했다.

dearname@fnnews.com 김나경 기자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