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학·과학 건강

골다공증 환자, 임플란트 시술시 '약제중단보다 감염관리'

파이낸셜뉴스

입력 2023.09.14 16:53

수정 2023.09.14 16:53

약물관련 악골괴사 발생경향 및 요인분석 요약 이미지. 일산병원 제공
약물관련 악골괴사 발생경향 및 요인분석 요약 이미지. 일산병원 제공

[파이낸셜뉴스] 골다공증 환자의 경우 치과치료시 골다공증약으로 인해 약물관련악골괴사(MRONJ) 위험이 높다는 인식이 높아지며 시술 전 약물을 중단해야 한다는 인식이 퍼지고 있다. 하지만 어떤 약제를 어떻게 중단해야 하는지, 중단한다면 얼마나 오래 중단해야 하는지, 어떤 치과 술식에서 골다공증의 투약중단기간이 필요한지에 대해서는 다양한 의견이 존재했다.

이에 국민건강보험 일산병원 치과 윤준호 교수팀은 치과치료에서 골다공증 치료제인 비스포스포네이트 또는 데노주맙을 투여한 골다공증 환자의 약물관련 악골괴사 발생경향 및 요인분석 결과를 발표했다고 14일 밝혔다.

약물관련악골괴사(MRONJ)는 악골에서의 창상 치유의 지연과 그에 따른 골의 노출, 통증, 부종, 감염 등의 증상을 나타내는 질병이다. △현재 또는 이전부터 골흡수억제제 또는 혈관형성억제제 치료를 받은 경우 △8주 이상 악안면 부위에, 구내 혹은 구외로 생긴누공을 통해 뼈를 관찰 또는 탐침할 수 있거나 뼈가 노출된 경우 △악골에 방사선치료 병력이 없거나 또는 명확한 전이성 병력의 질환이 없음에도 뼈가 노출된 경우로 정의하고 있다.


약물관련악골괴사는 처음 골다공증 치료에 사용하는 비스포스포네이트 제제가 발생시키는 것으로 보고됐지만 대체 약제인 데노주맙 역시 악골괴사를 일으키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이에 지난 2014년 이후 골다공증 약제에 의한 악골괴사를 약물관련악골괴사(MRONJ)라는 명칭으로 부르고 있다.

연구팀은 국민건강보험 자료를 이용해 지난 2008~2020년까지 비스포스포네이트와 데노주맙의 약제사용과 약물관련악골괴사의 발병 추이 및 골다공증 약제의 투약기간 및 약제 중단기간, 치과치료 여부와 치과치료 종류 등 발병에 영향을 미치는 치과적 전신적 요인을 분석했다.

연구대상은 2008~2018년 사이 골다공증으로 진단을 받고, 해당 기간동안 경구용 또는 주사용 비스포스포네이트 또는 데노주맙을 투약한 이력이 있는 환자(50대 이상)를 선정했다.

그 결과, 약물관련악골괴사 환자는 연도별로 꾸준히 증가하는 추세에 있음을 확인했다. 특히 치과 치료 경험이 있는 골다공증 투약 환자는 그렇지 않은 골다공증 투약환자에 비해 약물관련악골괴사의 발생이 4.6배 더 높았다.

치과치료 종류별로 보면 발치가 약물관련악골괴사 발생과 상관도가 가장 높았고 기타 구강악안면외과적 수술, 치주치료의 순서로 상관도가 낮았다. 임플란트의 경우 발치의 10분의 1로 상관도가 매우 낮았다.

연령별로 보면 50대를 기준으로 60대 골다공증 투약환자의 MRONJ의 상관도는 2.3배 더 높았고 70대와 80대는 모두 5.0배 높은 것으로 나타나 연령에 비례해 증가하는 모습을 보였다.

윤 교수는 "고연령자일수록 비스포스포네이트의 누적 용량이 높고 치과 시술 후 감염의 위험이 높고 의치의 사용 등 MRONJ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다양하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또 치과 치료 전 누적투약일수가 길수록, 치과 치료 전 약제중단일수가 짧을수록 영향을 받았다.

조사결과 지난 2010년부터 2020년까지 골다공증으로 진단받고 약제를 투여한 6만5987명 중 약물관련 악골괴사가 발생된 환자는 총 258명이었다. 이는 0.39%로 비교적 적은 발병률이다. 따라서 환자에 따라 약물 중단여부를 판단해야 한다는 것이다.

윤 교수는 "골다공증 치료를 목적으로 저용량의 경구용 골다공증 약제를 투여하는 환자의 약물관련 악골괴사 발병률은 매우 낮다"며 "특히 척추골 및 고관골 골절은 고령의 환자에게 치명적이므로 약물의 중지는 환자 개인의 상태에 따라 위험효과를 분석해 신중하게 결정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하지만 암환자의 경우 고용량의 비스포스포네이트 약제를 투여하므로 약물관련악골괴사의 위험이 높아 투약에 들어가기에 앞서 구강검진이 진행되는 것이 추천된다. 또 가급적 발치와 같은 처치가 투약 전에 이루어지도록 해야 한다.


윤 교수는 "하지만 비교적 감염의 위험에 적게 노출되는 임플란트 시술의 경우 약물관련악골괴사의 위험이 적다"며 "골절의 위험이 높은 고령환자, 중증 골다공증 환자의 임플란트시술 시에는 골다공증 약제를 중지하기보다 감염관리 등을 철저히 시행하며 약물관련악골괴사의 위험을 최소화하는 것이 추천된다"고 말했다.

일산병원 치과 윤준호 교수
일산병원 치과 윤준호 교수


camila@fnnews.com 강규민 기자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