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단독] '알짜'였던 서울 지하철 상가 4곳 중 1곳이 사라졌다

뉴스1

입력 2023.10.15 08:15

수정 2023.10.15 08:15

서울 중구 을지로 한 지하상가의 모습. ⓒ News1 황기선 기자
서울 중구 을지로 한 지하상가의 모습. ⓒ News1 황기선 기자


(서울=뉴스1) 박우영 기자 = 유동 인구가 많아 한때 '알짜'로 평가받던 서울 지하철 내 지하상가가 8년새 25%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무임수송 등으로 누적되는 적자에 임대수익마저 감소가 불가피해지자 서울교통공사도 소매품 위주에서 벗어나 업종을 확대하는 등 대응에 나섰다.

15일 정우택 국민의힘 의원이 서울교통공사로부터 제출받은 자료 등에 따르면, 서울교통공사 관할 지하철(1~8호선) 역사 내 점포는 지난달 기준 1539개다. 2015년 2055개였던 점포가 8년새 516곳(25.1%)이나 사라졌다.

많은 유동 인구 덕분에 '알짜'로 평가받으며 한때 인기가 높았던 지하철 상가의 하락세가 뚜렷하다.
2016년(2035개)만 해도 2000개가 넘었던 지하철 점포는 2017년 1941개→2018년 1819개→2019년 1771개→2020년 1617개→2021년 1613개→2022년 1564개로 매년 꾸준히 감소하고 있다.

서울교통공사가 이처럼 지하철 점포 수를 지속적으로 줄이는데도 일부 구간은 10곳 중 1곳이 운영을 하지 않고 비어 있다.

7호선은 공실률이 10.8%에 달하고 1호선(10.7%)과 4호선(10.1%)도 공실률이 10%가 넘는다. 3호선(6.3%)과 6호선(7.8%) 8호선(6.2%)은 6~7%대 공실률을 보이고 있고, 2·5호선은 나란히 공실률이 2.4%에 그쳤다.

다만 서울교통공사가 총 점포 수를 지속적으로 줄이면서 전체 공실률은 지난달 30일 기준 6.4%로 그렇게 높은 편은 아니다. 올 2분기 서울 전체 소규모상가 공실률 6.9%보다 오히려 약간 낮은 수준이다. 서울 전체 지하철 상가의 공실률은 2019년 11.1%에 달했지만 서울교통공사가 빈 점포를 없애면서 2020년 8.6%, 2021년 9.8%, 2022년 9.4%로 10% 미만을 유지하고 있다.

지하철 상가가 급격하게 감소한 원인으로는 높은 임대료와 소비 패턴의 변화 등이 꼽힌다.

지하철 상가는 유동 인구가 많은 데다 경쟁입찰제인 탓에 비교적 높은 수준에서 임대료가 형성된다. 기본 계약기간이 5년이어서 물가와 시세를 제때 반영하지 못하는 문제도 있다.

일례로 1호선 종각역 역사 내 한 식음료점(29.4㎡)은 월 임대료가 813만원으로, 넓이가 4배에 달하는 종각역 지상 한 점포(119㎡)의 월 1000만원과 큰 차이가 없는 상황이다.

코로나19를 기점으로 소매품 소비 패턴이 온라인화한 것도 큰 영향을 미쳤다. 성태윤 연세대 경제학과 교수는 "소비 자체가 줄어든 가운데 오프라인에서는 품질이 좋은 상품을, 온라인에서는 소매품을 구매하는 형태의 소비 패턴 변화가 눈에 띈다"며 "특히 지하철 점포들은 소매품 위주여서 비교적 타격이 있을 수 밖에 없다"고 말했다.

지하철 상가가 지속적으로 줄어드는 것은 서울교통공사 입장에서 잠재적 임대 수익 감소를 의미한다. 누적된 적자를 타개해야 할 서울교통공사로서는 뼈아픈 대목이다. 서울교통공사의 지난해 적자는 6420억원, 누적 적자는 17조6808억원이다. 서울시의 재정지원금을 제외한 실제 지난해 적자 규모는 9878억원이다.


서울교통공사는 이 같은 적자에 대응하기 위해 역명 병기, 공항 수화물 배송, 개인 창고 대여 등으로 사업 포트폴리오를 확장하고 있다. 지하철 상가도 소매점을 넘어 약국·의원과 반려동물 용품점 등 업종 다각화를 적극 추진하고 있다.


정우택 의원은 "(지하상가 운영을) 서울교통공사에만 맡겨놓을 것이 아니라 서울시 차원에서 역 주변에 불필요한 규제는 없는지 점검하고 상권을 활성화할수 있는 과감한 정책개발을 통해 활로를 모색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