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일반경제

"진짜 월급 빼고 다 올랐다"…먹거리 7%대·통신비 역대급 상승 (종합)

파이낸셜뉴스

입력 2023.10.23 13:33

수정 2023.10.23 13:33

자료사진.연합뉴스
자료사진.연합뉴스


[파이낸셜뉴스] 먹거리, 통신비 등 일상생활과 밀접한 품목들의 물가 상승세가 좀처럼 꺾이지 않고 있다. 정부가 물가 관리에 안간힘을 쓰고 있지만 서민들의 체감 물가는 갈수록 높아지고 있다.

올해 2분기에 가구 소득은 2.8% 줄었으나 가공식품과 외식 등 먹거리 물가는 7% 넘게 오른 것으로 나타났다. 고물가와 고금리에 주머니 사정이 넉넉하지 않은 상황에서 중동 불안까지 겹쳐 물가가 더 오를 수 있다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통신 물가는 올해 들어 9월까지 33년 만에 가장 큰 폭으로 올랐다.
휴대전화 요금에 더해 스마트폰 가격, 단말기 수리비까지 일제히 오름세다.

먹거리 물가 더 오르나…중동 변수↑

23일 통계청 국가통계포털에 따르면 소비자물가지수에서 대표적인 먹거리 지표로 꼽히는 가공식품·외식의 2분기 물가 상승률은 각각 7.6%, 7.0%로 전체 소비자물가 상승률 평균(3.2%)의 두배를 넘었다. 이는 먹거리 물가가 다른 품목보다 부담이 크다는 말이다.

가공식품 세부 품목별로 물가 상승률을 보면 라면(12.9%), 발효유(12.6%), 두유(11.6%), 커피(11.5%), 빵(11.4%), 스낵 과자(10.7%), 생수(10.1%) 등은 10% 선을 웃돌았다. 우유와 아이스크림도 각각 9.0%, 8.6%로 높은 편이었다. 가공식품 73개 세부 품목 중 70개의 물가 상승률이 플러스(+)다.

장바구니 못지않게 외식 부담도 만만치 않다. 외식은 세부 품목 39개 모두 물가가 올랐다.

햄버거 물가는 12.3% 올랐고 피자도 11.9% 상승했다. 김밥(9.6%), 삼계탕(9.3%), 라면(외식)(9.2%), 돈가스(9.0%), 떡볶이(8.7%), 소주(외식)(8.3%), 구내식당 식사비(8.2%), 자장면(7.9%), 맥주(외식)(7.6%), 칼국수(7.2%), 냉면(7.1%) 등도 상승률이 컸다.

한국소비자원 가격정보종합 포털 참가격을 보면 지난달 서울 지역 자장면 한 그릇 가격은 7069원으로 처음 7000원 선을 돌파했다.

냉면 가격은 평균 1만1308원이었다. 서울 시내 유명 평양냉면 음식점인 우래옥과 봉피양의 평양냉면 한 그릇 가격은 1만6000원이고 을밀대와 능라도는 1만5000원이다.

주머니 사정은 더욱 빠듯해질 전망이다. 올해 2분기 전체 가구의 처분가능소득은 평균 383만1000원으로 지난해 동기보다 2.8% 줄었다. 처분가능소득은 전체 소득에서 이자와 세금 등을 뺀 것으로 소비나 저축에 쓸 수 있는 돈이다.

고금리가 장기화하면 앞으로 살림살이는 더 나빠질 공산이 크다. 여기에 이스라엘과 하마스 간 전쟁으로 국제유가가 크게 오르면 원료·물류비 등 먹거리 가격의 인상 요인이 된다.

통신 물가 33년 만에 최대 상승

올해 3분기 누적(1∼9월) 통신 물가(지출목적별 분류)는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0% 상승했다. 같은 기간 기준으로 1990년(7.4%) 이후 33년 만에 최대 폭이다.

2018년 이후 4년 연속 하락한 1∼9월 통신 물가는 지난해 0.7% 상승한 데 이어 올해 상승 폭을 더 키웠다.

최근 통신 물가 상승세는 휴대전화료와 휴대전화기가 견인하고 있다. 휴대전화료와 휴대전화기의 물가 가중치는 각각 31.2, 11로 통신 물가를 구성하는 6개 항목 중 1·2위다.

휴대전화기는 신제품 출시 가격 상승 등 영향으로 1∼9월 3.5%나 올랐다. 관련 통계가 집계되기 시작한 1995년 이후 최대 폭 상승세다.

같은 기간 휴대전화 통신 요금도 0.2% 오르며 전년(0.4%)에 이어 상승세가 계속됐다.
2년 연속 물가가 오른 것은 관련 통계가 집계되기 시작한 1995년 이후 처음이다.

지난 2월 윤석열 대통령의 지시 이후 이동통신사들이 청년·고령층을 위한 중간 요금제를 출시하고 한시적으로 무료 데이터를 제공하기도 했지만 통신 물가는 쉽게 잡히지 않는 모습이다.


통계청 관계자는 "통신 물가는 6개 세부 구성 품목 중 가중치가 큰 휴대전화 요금, 휴대전화기 물가가 오르면서 상승세가 커졌다"고 말했다.

imne@fnnews.com 홍예지 기자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