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권 증권일반

CME그룹 "내년 경기침체 온다...이후 금리 인하 시작"

이주미 기자

파이낸셜뉴스

입력 2023.11.05 15:04

수정 2023.11.05 15:04

에릭 놀란드 CME그룹 선임 이코노미스트 겸 상무
에릭 놀란드 CME그룹 선임 이코노미스트 겸 상무. CME그룹 제공
에릭 놀란드 CME그룹 선임 이코노미스트 겸 상무. CME그룹 제공

[파이낸셜뉴스] "내년 2·4분기에서 4·4분기에 글로벌 경기침체가 찾아올 가능성이 크다. 이 시점에 기준금리가 인하될 것으로 예상한다."
에릭 놀란드 시카고상업거래소(CME)그룹 선임 이코노미스트(상무)는 5일 '2023년 하반기 거시경제 리스크 진단' 기자간담회에서 "내년에 글로벌 경기침체가 현실화할 가능성이 있다"며 이같이 말했다.

CME그룹은 북미 최대 파생상품 거래소로, CME와 시카고상품거래소(CBOT), 뉴욕상품거래소(NYMEX), 상품거래소(COMEX) 등 4개 시장을 운영하고 있다. 놀란드 선임은 CME그룹에서 글로벌 금융시장에 대한 경제적 분석을 책임지고 있다.

놀란드 선임이 내년 경기침체와 금리 인하 가능성을 관측하는 이유는 총 여섯 번의 금리인상기에서 엿볼 수 있다. 그에 따르면 미국은 1981년부터 올해까지 42년 동안 6차례의 금리인상기(긴축 사이클)를 거쳤다. 이 가운데 경기 침체가 찾아온 건 4차례다.


금리 인상 폭이 작았던 1984년과 1995년에는 경기가 연착륙했지만 지난해 3월부터 올해 6월까지는 크게 올라 금리 부담이 크다는 지적이다.

놀란드 선임은 "그간의 '금리 인상-경기침체-금리인하' 사이클을 봤을 때 연방준비제도(Fed)가 마지막으로 금리인상을 한 시점을 기준으로 10~17개월 이후에 경기침체가 찾아오고, 이때 연준이 금리를 인하하기 시작했다"며 "미국경제의 둔화가 시작되면 연준은 경기 회복을 위해 금리를 내릴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특히 상업용과 주거용 부동산 등 부동산 부채가 경기 침체의 뇌관으로 작용할 수 있다고 진단했다. 상업용 부동산의 공실 증가로 감정평가액이 하락하고, 이는 결국 건설업자와 투자기관들의 부실로 이어질 수 있다는 것이다. 부동산에 자금을 대출해준 은행도 타격을 입을 수 있다.

놀란드 선임은 "내년 경제의 위험 요인은 부동산 부채"라며 "현재 미국 등 여러 국가에서 상업용 부동산의 공실률이 높아지는 상황이고, 그동안의 금리인상으로 상환 부담이 높아졌기 때문에 회사채 등 부채 위험도 커졌다"고 전했다.

글로벌 경기에 둔화 흐름이 드리우면 주식시장은 약세를 보일 것으로 예상된다. 소비 위축과 수요 둔화로 기업의 이익 추정치가 하향되고, 이는 곧 밸류에이션 하락으로 연결되기 때문이다.

놀란드 선임은 "경기 침체가 온다면 주식시장엔 하방 압력으로 작용할 것"이라며 "과거 침체기에도 기술주 붕괴로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지수와 나스닥지수가 급락한 바 있다"고 말했다.

그는 주식시장의 하락에 대비해 금에 주목할 만하다고 조언했다.
놀란드 선임은 "최근 데이터를 보면 금 가격은 기준금리 하락이 예견될 때 상승했다"며 "지정학적 갈등이 확대되고, 연준의 긴축 기조가 완화되면 주식보다 좋은 성과를 내는 자산이 될 수 있다"고 강조했다.

zoom@fnnews.com 이주미 기자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