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산업일반

가격 인상 '반짝효과' 시멘트사, 설비투자에 전기료 인상까지 '후'

파이낸셜뉴스

입력 2023.11.21 15:44

수정 2023.11.21 17:16

3분기 실적 '급등' 4분기까지는 '글쎄'
[파이낸셜뉴스]

국내 주요 시멘트사 실적 추이
(백만원, %)
업체 구분 2023년 3·4분기 2022년 3·4분기 증감률
쌍용C&E 매출액 420,425 403,614 4.2
영업이익 47,613 26,248 81.4
한일시멘트 매출액 295,276 271,234 8.9
영업이익 60,253 20,425 195.0
삼표시멘트 매출액 169,855 155,159 9.5
영업이익 19,143 10,848 76.5
아세아시멘트 매출액 135,774 123,802 9.7
영업이익 22,467 24,750 -9.2
성신양회 매출액 170,858 176,859 -3.4
영업이익 7,702 446 1626.9
(각사 취합)


국내 시멘트사들이 3·4분기 호실적을 기록하자 표정관리에 들어갔다. 3·4분기 실적 호조세를 기록했지만 저탄소 친환경 설비 투자 증가와 전기료 인상 등을 감안하면 사정이 여의치 않아서다. 이 때문에 3·4분기 실적 개선은 반짝 효과에 머무를 수 있고 자칫 가격인하 압박을 받지 않을까 우려하고 있다.

21일 시멘트 업계에 따르면 국내 5개 대형 시멘트사(합병 통합 기준)의 3·4분기 누적 영업이익은 4704억원이다. 이는 지난해 같은 기간 2883억원에 비해 63.2% 증가했다.


가격 인상·유연탄 안정으로 '실적 개선'

개별사로 보면 시멘트업계 1위인 쌍용C&E 올 3·4분기 매출은 4204억원으로 전년 동기 4036억원 보다 4.2% 증가했다. 영업이익은 262억원에서 476억원으로 81.4% 급증했다.

한일시멘트는 3·4분기 매출 2952억원, 영업이익 602억원을 기록해 전년도 같은 기간 2712억원, 204억원 보다 각각 늘었다.

삼표시멘트와 성신양회도 3·4분기 호실적을 나타냈다.

국내 시멘트사들의 실적 호조세는 기저효과와 함께 가격 인상 영향이 크다.

각 사별로 차이는 있지만 시멘트사는 지난해 11월 유연탄 가격 급등 등 원자재 가격인상을 이유로 시멘트 가격을 지난해 2월에 이어 11월 두차례 가격인상을 단행했다. 이 과정에서 t당 종전 7만8800원이던 시멘트 평균 판매가격은 9만2400원, 10만5000원으로 인상됐다. 올해 3·4분기 이익 증가는 10만5000원으로 인상한 효과가 적용된 것으로 분석된다.

여기에 유연탄 가격 안정세도 한몫했다. 유연탄 가격은 지난해부터 꾸준히 하락했다. 지난해 3분기 t당 204달러 수준까지 치솟았던 유연탄 가격은 올해 1·4분기 197달러로 내려온 뒤 3·4분기엔 125달러까지 내려앉았다.

전기료 인상·설비투자 '첩첩산중'

그러나 국내 시멘트사들은 내부적으로 실적 호조세가 그다지 달갑지 않다. 설비 투자 증가 등으로 비용 증가가 예상되고 있어 전·후방 사업들에 가격인하 압력이 불어닥칠 수 있기 때문이다.

시멘트는 발전, 철강, 석유화학 다음으로 탄소 발생이 많은 산업으로 대부분 석회석에서 생석회를 추출하는 소성공정과정을 거치기에 탄소중립 실현이 쉽지 않다. 친환경 설비에 지속 투자를 나설 수 밖에 없는 상황인 셈이다.

실제 쌍용C&E는 시멘트 생산 과정 중 발생하는 환경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해 오는 2030년까지 약 8000억원 수준의 대규모 설비투자에 나섰다.

쌍용C&E 관계자는 “앞으로 환경개선을 위한 대규모 투자를 통해 전 세계적인 목표인 탄소중립 실현은 물론 환경영향 최소화를 통해 지속성장발전할 수 있는 회사로 도약할 수 있도록 적극 노력해 나갈 것”이라고 설명했다.

한일시멘트와 한일현대시멘트 역시 생산공장에 2025년까지 친환경 설비에 2710억원 가량 투자를 계획하고 있다. 주연료로 사용되는 유연탄을 대체할 수 있는 합성수지 등 순환자원 연료 사용을 확대하기 위해 생산설비 전반에 대한 개보수를 지난 해부터 단계별로 진행중이다.

더욱이 제조 원가를 크게 차지하고 있는 전기료 인상도 걸림돌이다.
시멘트업계는 인상 폭이 가장 큰 고압B(154㎸)에 해당, kWh당 13.5원 인상돼 부담이 더욱 클 것으로 전망된다. 통상 시멘트를 제조할 때 전기료는 제조 원가의 20∼25% 차지는데 이번 인상으로 30%에 이를 것으로 예상된다.


업계 관계자는 "몇 차례 가격인상은 시멘트사들이 생존하기 위한 불가피한 선택이었다"며 "다만 실적 개선으로 인해 자칫 가격인하 압력으로 작용할지 모를 후폭풍에 대비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kjw@fnnews.com 강재웅 기자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