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미일 정보 당국, 성공여부 판단에 신중
日정부 "궤도진입 속도에 이르지 못해..."
北 위성 궤도에 2번 진입, 정상작동은 미확인
[파이낸셜뉴스]
日정부 "궤도진입 속도에 이르지 못해..."
北 위성 궤도에 2번 진입, 정상작동은 미확인
관련 전문가들은 정찰위성 발사의 성공은 위성이 예정된 궤도에 진입뿐 아니라 지상 기지국과 신호 송수신이 정상적으로 이뤄지고 지상을 촬영한 사진 및 영상도 발신돼야 하는데, 이를 판단하는 데 시간이 걸리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북미항공우주방위사령부(NORAD)는 새로운 물체가 우주에 진입하면 수 시간 안에 관련 정보를 발표하는데, 오전 9시30분 현재 북한 정찰위성에 대한 정보는 실리지 않았다.
일본 정부 관계자도 "궤도에 진입할 속도에는 이르지 못한 것으로 보인다면서도 정보 수집을 이어가겠다"고 밝혔다고 일본 교도통신 등이 전했다.
우리 군 관계자는 "북한은 서둘러 성공했다고 발표했지만 그것을 액면 그대로 받아들일 수는 없으며, 한미, 한미일이 긴밀히 공조해 여러 식별된 상황을 공유, 분석해 판단 내릴 것"이라고 말했다.
장영근 국가안보전략연구원 미사일센터장은 "설사 궤도에 정확하게 진입하더라도 초기 운용을 통해 태양전지판을 전개해 배터리 충전을 해야 하고, 위성을 평양의 지상관제소로 지향하여 통신을 성공적으로 수행해야 위성 발사에 성공했다고 정의할 수 있다"고 말했다.
이어 "만일 태양전지판 전개에 실패하거나 지상관제소 지향 실패, 또는 초기 통신에 실패하면 위성 실패가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장 센터장은 이를 검증하는 데 탑재체에 따라 최소 1∼2개월 정도 소요된다며 "이 기간에 실제 영상 촬영을 시험적으로 수행하고 영상 품질을 향상시키는 작업을 수행할 것"이라고 말했다.
여기에 더해 북한이 군사정찰위성 초기운용 단계에 문제를 식별했더라도 만리경-1호가 정찰위성으로서 효용을 발휘하는지 검증을 거쳐야 한다.
북한은 지난 2012년 12월 광명성 3호 2호기와 2016년 2월 광명성 4호 등 두 차례 위성을 궤도에 올린 적이 있지만, 정상 작동이 확인된 적은 없으며 발사체에 탑재하는 위성체 기술도 아직 조악할 것으로 예상된다.
한미 양국 전문가는 지난 5월 31일 북한의 첫 발사 당시 서해에 추락한 정찰위성 ‘만리경 1호’의 위성체에 달린 카메라를 비롯한 광학 장비와 부품, 광학 카메라가 들어간 경통 등을 인양해 분석한 바 있다.
군 관계자는 북한의 위성체에 대해 “5월(1차 발사)에는 일부 인양했고, 8월에는 파편으로 쪼개져 인양한 것이 없다”면서 “자세히 말하기는 제한되나 정찰위성은 해상도가 1m 이상 돼야 하는데 (북한의 위성은) 그 정도에는 한참 못 미쳤다”고 밝혔다.
다른 군 관계자도 당시 정찰위성에 장착된 카메라의 해상도는 지상의 포착한 물체에 대해 가로·세로 3m 물체를 한 점으로 표시하는 수준인 3m급에 불과했다고 전했다.
다만 러시아의 지원이나 밀수 등을 통해 국외에서 고품질 부품을 들여와 성능을 개선했을 가능성은 남아있다. 또 북한이 영상을 성공적으로 촬영한다 해도 기술 수준 노출을 우려해 이를 공개할 가능성은 희박하지만 이를 과시하기 위한 영상물을 북한 선전 매체를 통해 과시할 지도 주목된다.
wangjylee@fnnews.com 이종윤 기자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