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이낸셜뉴스] 건설기업 5곳 중 2곳은 채무 상환이 어려운 '잠재적 부실기업'에 속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건설업계의 부채비율도 최근 5년간 최고치로 치솟았다.
28일 대한건설정책연구원의 '건설외감기업 경영실적 및 한계기업 분석'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국내 건설 외감기업 2232개사의 이자보상배율은 4.1배로 집계됐다. 지난해 전체 산업의 이자보상배율이 5.1배인 것을 고려하면 건설업계의 채무 상환 능력은 평균보다 낮은 수준이다. 이자보상배율은 기업의 채무 상환 능력을 나타내는 지표로, 이자보상배율이 1 미만인 기업은 영업이익보다 이자비용이 많아 정상적 채무 상환이 어려운 잠재적 부실 상태로 진단된다.
건설업의 이자보상배율은 2018년 6.8배에서 2019년 5.6배로 하락한 후 오름세를 지속해 2021년 6.4배까지 회복했으나, 지난해 급락하면서 최근 5년간 최저치를 기록했다. 지난해 이바보상배율이 1 미만인 건설기업은 929곳으로, 건설업 전체의 41.6%를 차지했다. 이는 전체 산업 평균인 36.4%보다도 큰 것으로, 2018년 32.3%(642곳)에서 매년 상승해 4년 만에 10%p 가까이 올랐다. 한국은행 등은 이자보상배율이 3년 연속 1 미만일 경우 '한계기업'으로 간주하는데, 이럴경우 지난해 한계기업에 해당하는 건설기업은 387곳이었다. 건설기업 가운데 한계기업의 비중은 2020년 15.8%(305곳), 2021년 17.3%(349곳)로 매년 늘어나는 추세다.
기업 규모별로 보면 대기업은 큰 변화가 없었지만, 중소기업은 급증세를 보였다. 한계기업에 해당하는 건설 대기업은 2020년 46곳에서 2021년 47곳, 지난해에는 54곳으로 비슷한 수준을 유지했다. 반면 중소기업의 경우 2020년 259곳에서 2021년 302곳, 지난해에는 333곳으로 매년 큰 폭 증가했다.
이런 가운데 지난해 건설업계의 평균 매출액은 1107억원으로 전년 대비 15.4% 증가했다. 그러나 영업이익률은 전년보다 1.5%p 하락한 4.5%를 기록했다. 순이익률 역시 2021년 4.9%에서 지난해 3.6%로 하락했다.
특히 지난해 건설업계의 부채비율은 144.6%로 전년(133.5%)보다 11%p 넘게 상승했다. 2018년 132.8%였던 부채비율은 2019∼2020년 120%대로 떨어졌으나, 지난해에는 최근 5년간 최고 수준으로 올랐다.
김태준 대한건설정책연구원 연구위원은 "건설경기의 하락이 본격화된 2023년 이후 고금리 기조가 계속되고 있으며 건설원가 역시 높은 상태로 2023년의 건설업의 부실은 더욱 악회될 것으로 예상돼 건설경기의 반등이 이루어지지 않는다면 2024년 이후 건설업체의 전반적인 부실은 본격화될 것"이라며 "이미 상당히 진행된 공사들이 중단되지 않도록 건설업계의 유동성 공급을 현실화하고 부실 기업들에 대한 선제적인 구조조정을 실시할 필요가 있으며 정상적으로 영업하고 있는 전문 및 중소 건설업체들의 연쇄부도 및 흑자도산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공정한 생태계 관리체계를 강화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jiany@fnnews.com 연지안 기자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