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전국

규제 빗장 풀린 전국 케이블카… 서울·지리산 등 사업 재시동

파이낸셜뉴스

입력 2023.12.06 18:23

수정 2023.12.06 18:23

설악산 케이블카 일사천리 착공에 전국지자체 답보 사업 다시 살펴
서울 '남산 곤돌라' 입찰공고 내고 지리산은 구례·산청 등 추진 속속
속리산·영남알프스도 논의 재개
남산 곤돌라 조감도. 서울시 제공
남산 곤돌라 조감도. 서울시 제공
수십년간 답보상태였던 전국 케이블카(곤돌라) 사업들이 윤석열 정부 들어 환경부의 규제가 완화되면서 가속도를 내고 있다. 41년간 답보상태였던 설악산 오색케이블카는 지난 2월 환경부의 환경영향평가를 조건부로 통과한 뒤 일사천리로 지난달 착공에 들어갔다. 설악산 오색케이블카의 착공에 영향 받은 다른 지자체들도 중단됐던 케이블카 사업을 재가동했다. 그동안 환경 훼손 등의 이유로 진척이 없었던 케이블카 조성사업은 윤석열 정부의 규제 완화 덕분에 대거 봉인이 풀렸다.

서울시는 6일 남산 곤돌라 조성을 위한 설계·시공 일괄 입찰(턴키 방식) 공고를 게시했다고 밝혔다.
총 공사비는 400억원 수준이다. 곤돌라는 명동역에서 200m 떨어진 예장공원(하부승강장)에서 남산 정상부(상부승강장)까지 804m를 운행할 예정이다. 10인승 캐빈 25를 운행해 시간당 1600명 정도의 방문객이 탑승할 수 있게 된다.

일각에서 불거진 환경 훼손과 사생활 침해 우려 등에 대해선 각계 의견을 충분히 고려해 사업을 진행하겠다고 시는 설명했다. 시가 추진하는 남산 곤돌라 조성사업은 유네스코 등재 관련 이슈 등으로 두 차례 보류된 바 있다.

시는 남산의 생태환경과 한양도성(문화재) 등을 고려해 곤돌라 위치나 면적 등을 계획했다고 설명했다. 특히 하부승강장은 당초 곤돌라와 연계되도록 설치된 남산예장공원 버스 환승 주차장과 승객 대기 장소를 활용할 예정이다.

이미 민간기업이 1962년부터 남산 케이블카를 운영하고 있으나 낮은 접근성과 시설 노후화, 1시간 이상 대기 시간으로 인해 개선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꾸준히 제기돼왔다. 기존 케이블카는 회현동 하부 승강장에서 남산 꼭대기에 있는 예장동 승강장까지 약 600m 코스를 평균 초속 3.2m로 운행해왔다.

서울시 뿐만 아니라 민선 8기 들어 추가로 케이블카 설치 논의를 진행하는 지자체도 10여곳에 달한다. 가장 논란이 되는 지역은 국내 1호 국립공원 지리산에 추진되는 케이블카다. 이 사업에 전라남도와 경상남도가 서로 경합하는 형국이 펼쳐지고 있다.

지리산 케이블카는 그동안 기초자치단체 주도로 추진돼 왔지만, 환경부 문턱을 넘지 못했다. 구례군은 1997년부터 지리산 온천지구에서 성삼재를 잇는 4.3㎞ 길이의 케이블카 설치를 추진해 왔지만 실패했다. 하지만 구례군은 환경부가 설악산 오색케이블카를 허가한 이후 '재심의'를 요청하겠다는 방침을 밝힌 바 있다.

김영록 전남도지사도 "관광객 유입과 일자리 창출로 지역 경제 활성화에 큰 도움이 될 것"이라며 사실상 지리산 케이블카에 대한 찬성 입장을 보였다. 경남도도 구례에서 추진하고 있는 노선과는 별개로 케이블카 설치를 추진하고 있다. 산청군은 이미 지난 6월 환경부에 국립공원계획 변경안을 제출하기도 했다.

산청군은 2029년까지 시천면 중산리에서 지리산 장터목 인근 3.15㎞ 구간에 케이블카를 설치한다는 계획이다. 함양군도 마천면 백무동 또는 추성리에서 천왕봉 인근까지 케이블카 설치를 추진하기로 했다.


이외에도 충북 보은군도 속리산 케이블카 설치 사업에 나설 것으로 보인다. 보은군은 지난 2016년 속리산 케이블카 기본 구상과 타당성 용역까지 마쳤지만, 환경보호 논란으로 관련 논의가 중단된 바 있다.
경북 문경시 주흘산, 대전 보문산, 울산 울주군 영남알프스 등도 지역에서 케이블카를 설치하자는 요구가 나오고 있다.

ronia@fnnews.com 이설영 최재성 기자

fnSurvey